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cavate the Korean Folktales of Buddha’s miracles and Buddhist practice and enlightenment, and explicate their meanings, which would result in helping the virtuous monks utilize to their teachings. Korean Oral Buddhist Folktales are particularly suitable materials in that they expose ordinary people’s viewpoint and understanding on Buddhism and its practice. The first type of folktales represents the stories in which Buddha performs miracles in response to the ordinary people’s prayers. These stories would help the people indirectly experience Buddha’s miraculous power, strengthening their belief. These stories, however, lack in the elements of Zen meditation. Another type represents the stories in which ordinary person either becomes or encounters Buddha. These stories connect the process of becoming or discovering Buddha to everyday virtues and attitudes. They help keep Buddhist belief and practice from being separated from people’s everyday life. However those stories are limited in that they still cling to the idea of discrimination. The other type of folktales shows people’s realization of the values and effects of Zen practice and Koan by showing the process of attaining Nirvana through them. These stories emphasize the fact that people’s greed is a decisive obstacle to their enlightenment. These stories destroy the common notion of relationship between monk and his disciple, in that greedy monks get reincarnated in serpents; their disciples save their teachers and help them attainenlightenment. The monks’ shocking self-denial could be an important cornerstone to advance to the truth of self-annihilation. This type of stories foregrounds the parts of 'looking back’ and ‘going back’ that separate the monk from his disciple. These stories point out that the monk who looks back and goes back can not escape from the desire and obsession of everyday life. One of the most widely spread Korean legends,
한국어
구연설화를 선지식의 법문에 활용할 가능성을 탐색했다. 불공에 호응하는 부처의 영험을 보여주는 설화들은 스스로 수행하기 보다는 불공에 정성을 더 들이는 대중을 위한 법문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부처가 되거나 부처를 발견하는 설화 유형도 있다. 이런 설화들은 부처의 본질에 대해 통속적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해 나름대로의 답을 모색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을 일상생활의 덕목이나 생활 태도로 응용한다. 화두수행과 득도의 과정을 보여주는 설화들은 화두수행의 가치와 효용에 대한 대중의 성찰을 보여준다. 이들은 재물에 대한 욕심이 득도에 결정적 장애가 되는 것으로 보았다. 아랫사람인 어린 상좌가 웃어른인 스님을 구원하고 득도케 한다는 점에서 세속 통념을 파괴했다. 웃어른 스님의 충격적 자기 부정은 ‘무아(無我)’의 진리로 나아 가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 불공 올리기에만 익숙해져 화두 수행으로부터 멀어져 있거나 화두 수행의 감을 잘 못잡고 있는 대중들을 화두 수행으로 이끌어주는데 알맞은 설화 작품들도 있다. 이들 설화들은 생을 거듭해서라도 간절히 수행하면 결국 득도해 해방될 수 있다는 희망을 불어넣어준다는 점에서 법문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머리말
II. 불공에 호응하는 부처의 영험
III. 일상 속 부처되기와 통속적 물음
IV. 욕심의 근절과 화두 수행의 희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