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주제 : 한국어문학의 접촉과 변동 - 移, 異, 以 ④ 문화와 번역

시조에 드러난 공간명의 의미 - 노래의 공간적 이동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Meaning of Space-name revealed in Sijo

신윤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manuscript sought to see the 'place name' of China and Korea in sijo(=traditional Korean poem) in the aspect of 'migration of song'. For this it considered the works of Jinbon Chungguyoungun as targets, and also included cases that the place name were replaced with other things in later songbooks. It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solve in what context the place name is accepted and its meaning has changed. China's place name had been accepted as a 'desired place' that background knowledge is needed, but its meaning has changed as the names replaced to similar-named 'real places' of Korea. Korean region's place name starts from peripherial awareness, but seems like accepted as a method to make people feel sense of kinship through center‘s possession. Especially when the place is related to historical event, the song that has lyrics of the place name transmitted even to the center-Seoul, making both singer and listener(consumer of the music) participating in the music feel the sense of unity to the situation. This is because the lyricism of poem gained the power of sympathy, and we can estimate the relation of the spatial migration of songs and center possession considering the roles of korean geisha and court musicians-who were main agent of the performance.

한국어

본고는 시조에 드러난 중국과 우리나라의 공간명을 노래의 이 동이라는 측면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본 청구영언 에 실린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되, 후대의 가집에서 공간명이 다른 것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포함하였다. 이는 해당 공간명이 어떤 맥 락에서 수용된 것인지, 어떻게 의미가 변하고 있는지 풀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중국의 공간명은 배경 지식이 필요한, 희구의 공간으로 인식되었지만 점차 이름이 유사한 우리 나라 실지(實地)로서의 공간명으로 대체되면서 체험의 장소로 그 의미가 변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지방의 공간명은 주 변부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지만 중앙에서의 향유를 통해 동질감을 느끼게 하는 수단으로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역사적 사건의 중심이 되는 공간의 경우, 그 지명을 담은 노래가 중앙-서울에까지 전해지면서 노래 연행에 참여하는 가창자 와 청자(수용자) 모두 노래가 발생한 공간과 그 상황에 대해 일체감을 느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시가의 서정성이 노래의 현장성과 어우러지면서 공 감(共感)의 힘을 획득했기 때문인데 연희의 주체였던 여기(女妓)와 악공의 역할을 고려하면 노래의 공간적 이동과 중앙 향유의 관계 또한 짐작하게 한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며
 2. 관습적 공간에서 체득의 공간으로
 3. 주변적 공간에서 중앙 향유의 공간으로
 4. 노래의 이동과 연행의 현장성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윤경 Shin, Yun-kyung. 장안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