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the CISD Effectiveness

원문정보

CISD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Eun Kee Kim, Chan Seok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ISD by conducting a survey of 30 firefighters participated in a course of “CISD leader” at Busan Fire Academ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stress response decreased from .68 to .44 after the CISD session,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2.14, p<.05). The score of PTSD decreased from .52 to .42,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85, p>.05). Our results support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the CISD is not effective for improvement on PTSD. Although CISD is one of the useful crisis intervention programs, a more thoughtful process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empirical studies when it is employed.

한국어

이 연구는 위기상황을 빈번히 접하게 되는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위기개입 프로그램 중CISD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부산소방학교에서 실시한 ‘CISD 리더’ 교육과정에 참가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연구기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결과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CISD 실시전과 후를 비교할 때 집단 평균이 .68에서 .44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분석되었다(t=2.14, p<.05). PTSD의 경우에도 CISD 실시 전과후의 집단 평균이 .52에서 .42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t=.85, p<.05). 즉, CISD가 PTSD의 개선에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비록 CISD가 위기상황 스트레스의 감소라는 측면에서는 유용한 위기개입 프로그램 중의하나임에는 틀림없으나,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들을 토대로 더욱 신중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소방관들의 스트레스 및 PTSD
  2.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의 의의
  3.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세부절차
  4.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의 효과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및 절차
 Ⅳ. 분석결과
  1. CISD 실시 전⋅후 스트레스 및 PTSD 지수 분포 비교
  2. CISD 실시 전⋅후 대응표본 T-검정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Eun Kee Kim 김은기.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 Chan Seok Park 박찬석. Depart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