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행정구역 중심의 물수급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초록
영어
Recently, a water supply and demand analysis based on floods and abnormal droughts situation due to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predict capacity of future water supply. In this study, K-WEAP (Korea Water Evaluation And Planing System) model was used for water balance analysis i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eumho river basin.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 of domestic and industrial water, no water deficiency was expected even during the maximum dry-season. However, for agricultural water, the scenario-based estimation anticipated water deficiency at Pohang city, during the year 2016 (548,000㎥), 2020 (547,000㎥) and 2025 (497,000㎥).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set a new standard on future establishment of water resource plans.
한국어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의 이유로 홍수 및 이상가뭄이빈발하고 있다. 기상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변동은 미래 가용수자원량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권역 단위 물수지 분석을행정구역단위로 세분화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사용했던 물수급 네트워크 모형인 K-WEAP 모형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권역 단위 물수지 분석 결과와 행정구역단위 물수지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 단위에 따른 물수급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공용수의 경우 최대갈수기에도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농업용수의 경우는 포항시에서 2016년에는 548,000㎥, 2020년에는 547,000㎥, 2025년에는 497,000㎥ 물부족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물수급 전망 방법론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와 상이한 산정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제시할 분석 방법은 미래의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새로운 분석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특성 분석
1. 강우-유출 모형
2. 물수지 모형
Ⅲ. 대상유역 및 연구방법
1. 대상유역 개황
2. 물수지 분석을 위한 유역 분할
3.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1. 용수 공급량 산정
2. 용수 수요량 산정
3. 물수급 네트워크 구축
4. 물수지 분석
5. 물수급 평가를 위한 고찰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