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몸적학습을 통한 ‘몸의 인격성’ 체험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Personality of Soma: Practice Based on Somatic Learning

한혜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way dancers experience the “personality of soma” while practicing.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stud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of soma and the creation of unique dances. This study included dancers learning original movements and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ing. The author used practice-based research and other academic resources for the study. First, major terms, such as “soma,” “somatic learning,” and “personality of soma” were defined based on other academic sources. The discussion of the concepts of soma and somatic learning is primarily based on the somatics of Thomas Hanna. The personality of soma discussion is based mainly on the concepts that Karol Wojtyla suggested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origin solitude, origin nakedness, and origin unity. Practice-based research informed analysis of the entir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iece, creating choreography, practicing, and performing. Somatic data was derived from the researcher’s first-person observation, and dancers were employ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Experiencing the personality of soma consists of four stages: recognition, awareness, unity, and openness to soma. First, the experience of silence caused the dancers to recognize their soma and discover the potential within them. Second, the experience of origin solitude allowed the dancers to discover creativity and autonomy within their soma through an exploration of autonomous movement. Third, the experience of origin unity provided a chance to realize that soma has its own way of conducting communication and personal interaction. Fourth, undergoing the origin nakedness stage, the dancers learned how to dance their unique moves without the eyes of others, a perspective that they had internalized. The researcher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ained self-esteem and recovered the personality of soma. They also created unique dance through a development of their own dance moves. By conducting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erienced transitions from passive, memorization-based learning to active learning, which allowed the utilization of somatic sensation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몸적학습(somatic learning)을 기반한 실기방식을 통해 ‘몸의 인격성(Personality of soma)’을 어떻게 체험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몸의 인격성을 회복하고 고유한 움직임을 계발하 여 독창적 춤을 형성하는 것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실기기반연구법을 병행하다. 문헌연구에서는 몸(soma), 몸적 학습, 몸의 인격성의 주요개념을 정리하다. 몸과 몸적학습에 한 개념은 토마스 하나의 몸학 (Somatics)을 중심으로 탐구하다. 그리고 몸의 인격성은 카롤 보이티야(Karol Wojtyla)가 인간의 몸 에서 드러나는 인격성과 주체성을 신학적 입장에서 제시한 원고독(Origin Solitude), 원순수(Origin Nakedness), 원일치(Origin Unity)의 개념을 중점으로 정리하다. 그리고 실기기반연구(Practice Based Research)법으로 연구자의 실기연습의 전 과정을 분석하다. 분석을 위한 연구자료로서, 본 연구자가 제일자적 관점(first-person perspective)에서 구축한 체험자료 (somatic data)와 연습장면을 촬한 상자료가 분석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었다. ‘몸의 인격성’ 체험은 몸에 한 재인식, 자각, 일치, 개방의 단계를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침묵의 체험에서 본 연구자는 자신의 몸을 재인식하여 몸에 내재된 가능성과 잠재력을 발견하 다. 두 번째 원고독의 체험에서 자율적인 움직임 탐구를 통해 몸의 독창성과 자율성을 자각하고, 이 움직임을 바탕으로 고유한 춤을 형성해 갔다. 세 번째 원일치의 체험에서 몸이 지닌 소통능력을 깨 닫고, 인격간의 친교의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다. 네 번째 원순수의 체험에서 내재화된 타인의 시선으로 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춤을 자유롭게 추게 되었다. 이처럼 ‘몸의 인격성’을 체험을 통해 몸의 자존감이 높아지고 인격적 몸으로 회복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유한 움직임을 계발하여 독창적인 춤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몸(soma)의 개념과 인격성
  1. 몸(soma)의 개념
  2. 몸적학습(somatic learning)
  3. 몸의 인격성(Personality of soma)
 Ⅲ. ‘몸의 인격성’ 체험
  1. 침묵
  2. 원고독
  3. 원일치
  4. 원순수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혜주 Han, Hyeajoo. 이화여대 공연문화연구센터 박사후과정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