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춤 활성화를 위한 교양무용교육의 효율적 방안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ive Approaches to a General Dance Education for Activating Dance as Art : A Focus on Action Research

윤지은

피인용수 : 2(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teach general dance education in university environments where a dance department does not exist, making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approach dance as an art. Within such a context, this research aimed to teach a general dance class in such a way as to improve students’ perceptions of dance as ar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general dance education for students who live in areas where people lack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ance as art? Second, what should be taught in a general dance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ctivate perceptions of dance as art? Third, what points could be improved in a general dance class in order to revitalize dance as art? This study followed an action research format, focusing on a real situation while seeking to understand the role of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five male students taking a general dance class at a four-year system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In this context, it is difficult to offer various dances as art forms to students because the class runs semester by semester, making it difficult to meet all student requests in such a brief time. In addition, the university lacks any other dance classes, so students had no choice and could not compare with other classes. Therefore, the interviews completely focused on the researcher’s class, lacking comparisons with other classe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effective approaches to a general dance class. First, the class needs to include “dancing for physical exercise.” Second, the class needs to be “naturally experienced.” Third, the class needs to be “exciting and communicable.” These results emphasize that dance is not a “serious” class but offers comfortable and interesting learning to students. In addition,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responses and develop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fore, dance educators teaching general dance classes must consider various environments and students’ interests. Many action research studies on general dance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and people can continue to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 future. Furthermore, we can expect increasing interest in dance as art.

한국어

본 연구는 무용과가 존재하지 않는 학의 예술춤을 접하기 힘든 환경에 있는 학생들을 상으로 교양무용교육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목적은 예술춤에 한 학생 들의 인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학 교양무용교육의 효율적 방안을 모색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지역의 학생들은 교양무용교육에 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예술춤 활성화를 위한 교양무용교육에서 다루어야할 것은 무엇인가? 셋째, 예술춤 활성화를 위한 교양무용교 육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실제적인 것에 중점을 두고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응하고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실행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상은 충청도 지역 4년제 학교에 재학 중인 공과학 학생들 5명으로, 수강하고 있는 교양무용수업에 관련한 집단 인터뷰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다. 그러나 수업이 한 학기 단위로 진행되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춤을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단기 간에 모든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할 수 없다는 점은 한계로 남는다. 또한 해당학교에서의 춤 관련 교양수업은 연구자의 수업만이 유일하기에 학생들이 다른 수업과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인터뷰 내용은 철저히 연구자의 수업만을 상으로 이루어졌고 다른 수업과의 폭넓은 비교 는 이루어지지는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예술춤 활성화를 위한 교양무용수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운동하는 듯 춤추는 수업’이다. 둘째,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수업’이다. 셋째, ‘재미있 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업’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에게 예술춤에 한 심각하고 진지한 수업방식 보다는 재미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즐겁고 편안한 수업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더불어 교수자는 학생들의 반응을 끊임없이 살피고 상황에 따라 적합한 수업 내용과 도구, 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연구의 자세를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많은 교양무용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자들 이 단지 지식을 전달하거나 움직임을 그로 따라하는 수업이 아닌 각 학교와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하 여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학생중심의 수업을 진행하는 데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다양한 환경에 서의 교양무용수업 사례들이 많이 연구되어 다양성을 확보하고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춤을 알리고 누릴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기를 바라며 나아가 예술춤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를 기해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양교육으로서 무용
  2. 실행연구(action research)와 무용교육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및 해석
  4.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지은 Yun, Jieun.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Educational Action Research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2Development of a measurement scale for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ity disorders) fo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dance education네이버 원문 이동
  • 3김영옥(2008). 「대학 교양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 리서치』 19권 6호. 한국스포츠리서치: 3-12.
  • 4김영천(2015).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5Action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네이버 원문 이동
  • 6An Action Research on Movement Creative Education from a Holistic Perspectiveearticle 원문 이동
  • 7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cultural course for dance네이버 원문 이동
  • 8The Influence of General Dance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on Dance Participation네이버 원문 이동
  • 9교양무용수업 참여 대학생의 인식도와 생활만족도 변화네이버 원문 이동
  • 10The Case Study of Reflective Practice of the Liberal Dance Class in University네이버 원문 이동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