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날짜 어휘의 형태론적 분석 - ‘/흘’ 결합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Words about Date - Centering around ‘hʌl/hɨl’ -

이동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ecially we have some words about date. Among them I treated several words in relation to ‘hʌl/hɨl’ which means ‘day’. The subjects of my study are concretely ‘haru, ithɨl, sahɨl, nahɨl, jəlhɨl’. They were spelled ‘hʌrʌ, ithɨl, sahʌl/saʌl, naʌl, jəlhɨl’ in middle Korean.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respect of containing of ‘hʌl/hɨl’. The underlying form of this noun is not ‘ʌl/ɨl’ but ‘hʌl/hɨl’. Some linguists asserted that ‘ʌl/ɨl’ was the right underlying form. But ‘ithɨl’ is analyzed as compound of ‘it’ and ‘hɨl’. So I cannot but regard ‘hʌl/hɨl’ as right underlying form. ‘hʌl/hɨl’ is not a suffix but a noun. Because it is modified by prenoun form as ‘onʌl’(o-+-n#hʌl). ‘hʌrʌ’ and ‘mʌrʌ’ is analyzed as respectively ‘*hʌtʌn+hʌl’ and ‘mʌt+ʌl’. And ‘mjəchil’ is analyzed as compound of ‘mjəch’ and ‘hɨl’.

한국어

국어에는 ‘하루, 이틀, 사흘, 나흘, 열흘’과 같이 날짜를 지칭하는 어휘가 존재한다. 이들은 중세국어로는 ‘, 이틀, 사/사, 나, 열흘’의 형태를 취하는데, 자세히 분석해 보면 모두 공통적으로 ‘/흘’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흘’은 형태가 ‘/을’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틀, 읻, 이듬, 이듭’에서 분석되는 ‘읻’이 ㅎ곡용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선행 구성 성분을 ㅎ곡용어로 보기보다는 후행 구성 요소의 형태를 ‘/흘’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 ‘/흘’은 기존 연구에서 접미사로 분석되기도 했지만, ‘오’(오-+-ㄴ#)에서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는 것으로 보아 원래 명사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에는 외견상 ‘/흘’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형태소를 분석해 보면 ‘/흘’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현대국어의 ‘며칠’은 ‘몇’과 ‘일’(日)이 결합한 것이 아니라 ‘몇’과 ‘흘’이 결합한 후 ‘며츨’을 거쳐 ‘며칠’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형태소 ‘/흘’에 대한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석 Lee, Dongseok.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