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대국어의 ㄹㄴ~ㄹㄹ형에 대하여

원문정보

Regarding ㄹㄴ~ㄹㄹ Forms of Modern Korean

김성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at ㄹㄴ~ㄹㄹ forms of Modern Korean was connected with phonetic value change([r]>[l]) of syllable final liquid sound and estimate why sequential writing of ㄹㄴ~ㄹㄹ was created and what their phonetic values were. First, it was discussed that syllable final liquid sound was realized as external plosive sound [r] in Old Korean and Medieval Korean. Later, it was deliberated that syllable final liquid sounds were changed as ‘[r]>[l]’ due to non-plosiveness in the time of change form Medieval Korean to Modern Korean, which made liquidization realized at /ㄹㄴ/-sequence of Modern Korean and ㄹㄴ~ㄹㄹ forms were sequentially written. In other words, in the time of change from Medieval Korean to Modern Korean, Modern Korean had the co-existence of both syllable final liquid sound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because of syllable final liquid sound change ([r]>[l]). In this respect, it was discussed that ㄹㄴ~ㄹㄹ forms of Modern Korean were articulated as external plosives under the effect of syllable final liquid sound and the conservativeness of writing was involved. Particularly, in changing process of phonetic value of syllable final liquid sound, ㄹㄴ forms could be realized as [rn] in Modern Korean due to the effect of syllable final liquid sound articulated as external plosive sounds, so the realization of [rn] was written mostly with ㄹㄴ form. On the other hand, Modern Korean was the completion period of non-plosiveness of syllable final liquid sound. Accordingly, it was deliberated that both ㄹㄴ and ㄹㄹ were realized as [ll] after the settlement of lateral consonant[l], but ㄹㄴ appeared for a long period due to the conservativeness of writing even after the realization of ㄹㄴ[ll].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음절말 유음의 변화([r]>[l])와 관련하여, 근대국어에서의 ㄹㄴ~ㄹㄹ형에 대한 혼기 원인 및 이들의 음가를 추정하는 것이다.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고는 음절말 유음이 중세국어에서는 대부분 외파음[r]로 실현되다가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교체기에 유음의 미파화로 인하여 설측음[l]로 변화되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r]>[l])로 말미암아 근대국어에서는 ㄹㄴ~ㄹㄹ형이 혼기되었음을 추정하였다. 즉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교체기에 음절말 유음이 [r]>[l]로 변화됨에 따라 근대국어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적 시기로써 변화 전의 음절말 유음과 변화 후의 음절말 유음이 공존하게 된다. 그리하여 음절말 유음의 변화([r]>[l]) 과정에서는 외파로 조음되었던 음절말 유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근대국어의 ㄹㄴ이 [rn]으로도 실현될 수 있었는데, [rn]의 실현이 대부분 ㄹㄴ형으로 표기되었던 것이다. 한편 근대국어는 유음의 미파화가 완성되는 시기이다. 이에 설측음[l]이 정착된 이후에는 ㄹㄴ과 ㄹㄹ이 모두 [ll]로 실현되지만, 표기의 보수성으로 인하여 ㄹㄴ[ll]의 실현 이후에도 ㄹㄴ형이 ㄹㄹ형과 함께 오랜 기간 나타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미파화와 유음
 3. 근대국어의 유음과 ㄹㄴ~ㄹㄹ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옥 Kim, Seongok.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