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덕과 수업에서 비판적ㆍ성찰적 글쓰기 - 프로젝트 학습과 교육토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ritical and Self-Reflective Writing in Moral Education Class -Focus on the Project Approach and Educational Debate-

이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human character of 「2015-amended curriculum」 is a talent imbued with humanistic imagination and scientific & technical creativity who includes an autonomous and creative human being, a cultured human being and a human being living together with other. The purpose of morality class according to that is to, centering around 'being moral' and doing ethics', that is, controversial issues, look into moral phenomena, norms and principles in the real world and, in connection with his/her own values, to reach ethical introspectio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effective writing in morality class and project learning and cooperative leaning by which a teacher guides students and students take the lead of the whole process of class, aiming at discussing the possibility and effects of critical & self-reflective writing in morality class through teaching-learning methods utilizing educational debates. Through critical & self-reflective writing in morality class, it can be expected to raise integration and fusion of knowledge, problem-solving ability, reflective thinking, re-structuralization of knowledge, extensive and creative thinking, moral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nd inner healing as well as clarification of knowledge, logical thinking, synthetic & integrated reasoning.

한국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서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그리고 교양 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이에 따른 도덕과 수업의 목적은 ‘도덕함’과 ‘윤리함(doing ethics)’, 즉, 윤리적 논쟁거리를 중심으로 현실의 도덕현상과 규범 및 원리를 탐구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연계하여 윤리적 성찰에 도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도덕과 수업에서 교수자의 안내에 따라 수업의 전 과정을 학생이 주도하는 프로젝트 학습과 교육토론을 중심으로 비판적ㆍ성찰적 글쓰기의 가능성과 효과를 논의하는데 있다. 도덕과 수업에서 교육토론 실시 후 비판적ㆍ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지식의 명료화, 논리적 사고, 종합적ㆍ통합적 사유능력은 물론 지식의 통합과 융합, 문제해결능력, 반성적 사고, 지식의 재구조화, 확장적ㆍ창조적 사고,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 내면적 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도덕과 수업에서 글쓰기
  1. 도덕과 수업에서 글쓰기의 어려움
  2. ‘도덕함’과 ‘윤리함’의 과정으로서 토론과 글쓰기
 Ⅲ. 자기주도 학습으로서 프로젝트 학습과 교육토론
  1. 자기주도 학습으로서 프로젝트 학습
  2. 협동학습으로서 교육토론
 Ⅳ. 비판적ㆍ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과 교육토론
  1. 비판적 글쓰기와 성찰적 글쓰기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프로젝트 학습과 교육토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희 Lee, Kyung-Hee.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