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리의 원리와 증명의 문제 - J. S. 밀의 공리의 원리 증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rinciple of Utility and the Problem of It’s Proof

류지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 Stuart Mill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utility was not amenable to direct proof, but capable of being proved in a larger meaning of the word proof by inductive argument on the basis of empirical evidences. According to Mill’s proof, the sole evide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that anything is desirable, is that people do actually desire it. Each person desires his own happiness, and, therefore, we have all the proof that each person’s happiness is a good to that person and the general happiness, therefore, a good to aggregate of all persons. And people cannot desire anything except happiness, so, happiness is the only good in itself. Mill’s proof has been criticized for committing logical errors like a fallacy of equivocation, naturalistic fallacy, and a fallacy of composition. However, these criticisms has mostly come from misunderstanding of Mill’s proof. Nevertheless, Mill used ambiguously and vaguely key words as the principle of utility,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and impartiality in Mill’s proof. Therefore, he has aroused a lot of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Above all, Mill’s proof is not the proof of the principle of utility as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but that of the hedonistic theory of value as the first principle of the art of life. Furthermore, because the proof of the hedonistic theory of value relies heavily on association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hedonism, the foundation of the proof is weak. Crucially, By appealing to not evidence but intuition that he has consistently criticized in order to justify the requirement of impartiality which is the essence of utilitarian morals, Mill reveals incoherence within his theoretical system. In conclusion, Mill’s proof of the moral principle of utility is incoherent combination of inductive argument on the basis of empiricism with concealed intuitionism.

한국어

밀은 공리의 원리에 대한 직접적 증명은 불가능하지만 넓은 의미의 증명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넓은 의미의 증명의 방법으로 경험적 증거에 기초한 귀납 논증을 제시한다. 밀의 증명에 따르면, ‘어떤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대한 유일한 증거는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을 바라는 것이다.’ 그런데 ‘각자는 자신의 행복을 바라므로 각자의 행복은 각자에게 바람직하고, 일반 행복은 개인들의 집합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구도 행복 외에 다른 어떤 것도 바라지 않기 때문에 오직 행복만이 그 자체로 바람직하다.’ 밀의 증명은 애매성의 오류, 자연주의적 오류, 합성의 오류와 같은 논리적 오류를 범한다고 비판받아 왔다. 하지만 이 비판들은 대부분 밀의 증명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의 증명은 공리의 원리, 최대 행복의 원리, 공평성과 같은 용어를 애매하고 모호하게 사용함으로써 많은 혼란과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무엇보다도 밀의 증명은 ‘도덕의 제1원리’로서 공리의 원리에 대한 증명이 아니라 ‘삶의 기술의 제1원리’인 쾌락주의 가치론에 대한 증명이라는 한계를 안고 있다. 그리고 쾌락주의 가치론에 대한 증명 역시 연상 심리학과 심리적 쾌락주의에 과도하게 의존함으로써 증명의 토대가 취약하다. 결정적으로 밀은 공리주의 도덕의 핵심인 ‘공평성의 요구’를 정당화하는 문제에 있어서 증거에 호소하지 않고 자신이 비판했던 직관에 호소함으로써 이론 체계 내에 부정합성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도덕적 공리의 원리에 대한 밀의 증명은 경험주의에 기초한 귀납 논증과 은폐된 직관주의의 부정합적 결합의 산물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공리의 원리에 대한 소극적 논증
  1. 제1원리의 불확실성과 윤리학의 후진성
  2. 직관주의 비판
 Ⅲ. 공리의 원리에 대한 넓은 의미의 증명
  1. 직접 증명의 불가능성과 넓은 의미의 증명
  2. 밀의 증명의 3단계
 Ⅳ. 밀의 증명에 대한 비판
  1. 1단계 논증 비판
  2. 2단계 논증 비판
  3. 3단계 논증 비판
 Ⅴ. 공리의 원리의 애매성과 은폐된 직관주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지한 Lyou, Ji-Han.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