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소학독본』(1888~1889)을 통해 본 근대일본의 심상지리

원문정보

Modern Japanese Image geography in “Kodeung sohak Dokbon”

박삼헌, 권희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ing on geographical description that was shown at a time “Kodeung Sohak Dokbon” of modern Japan the textbook screening, was considered modern Japan Imagery geography of “country” and “world”. “Kodeung Sohak Dokbon” published in 1888-after a reader enforces a censorship system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can be used as the very important textbook which grasps the many-sided meaning which the education policy of the character of the transition stage from which it moves to the government system. Moreover, the geography technology directly rela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the textbook of this time official version geography was not published, “Kodeung Sohak Dokbon”- It is only. Suppose that there is the research meaning also in a showing the view of the world of modern Japan just before carrying out uniquely and being converged on an Emperor principle like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field. “Kodeung Sohak Dokbon” in a geographical field-the editorial policy of a reader can be greatly summarized to two. At first, It is the point of the contents which children should learn by initiativ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ing been compromised, and having been intensively described according to difficulty. The second is the point that write the insufficient portion of a geography book in addition, and the contents of human geography contering on a city are making the basis. Namely, “Kodeung Sohak Dokbon”-the important element of the mental image geography of a reader may be converged on the city and modernity which symbolize civilization. In addition, the look of the textbook which looks at a “country” can be summarized greatly two to move to an open port in a modern city. First, the mental imagined geography of the country of henceforth before the Meiji Restoration is intermingled, Secondly, The city feature is written for the numerical value of a map and population, and recognize now visually. These methods are placed centering on Tokyo and the effect which a pyramid type is made to recognize according to the scale which evaluated the outer city is induced. Although movement of the look which looks at a foreign country is performed focusing on “a pact member”, it is in agreement with the migratory pathway of Iwakura Mission except the Beijing. It could be said that the look which looks at the foreign country which appears with a “Kodeung Sohak Dokbon” has the character which it converges on the only vanishing point of “civilization” like the look of Iwakura Miss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근대일본의 교과서 검정시기 『고등소학독본』에 나타난 지리 서술을 중심으로 ‘국토’와 ‘세계’에 대한 근대일본의 심상지리에 대해 검토하였다. 1888년에 간행된 『고등소학독본』은 문부성(文部省)에서 검정제도를 시행한 뒤 야심차게 편찬한 독본용 교재로 검정제도에서 국정제도로 옮아가는 과도기적 성격의 교육정책이 지니는 다면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관판 지리교과서가 출간되지 않았던 관계로 문부성이 직접 관계한 지리 기술은 『고등소학독본』이 유일하여 교육칙어와 같은 천황주의로 수렴되어가기 직전의 근대 일본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면에서도 그 연구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리적인 측면에서의 『고등소학독본』의 편집방침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문부성의 주도로 아동들이 학습해야할 내용이 취사선택되어 난이도에 따라 집중적으로 서술되었고 둘째는 지리서의 부족한 부분을 부기하여 도시를 중심으로 한 인문지리적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즉 『고등소학독본』의 심상지리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문명’을 상징하는 도시라는 근대성으로 수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토’를 바라보는 교과서의 시선은 근대도시에서 개항장으로 이동하는데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메이지유신 이전과 이후의 국토에 대한 심상지리가 혼재되어 있으며 둘째, 도시의 특징이 지도와 인구의 수치로 표기되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도쿄를 중심에 놓고, 이외의 도시들을 수치화된 규모에 따라 피라미드식으로 인식하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타국을 바라보는 시선의 이동은 ‘조약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베이징을 제외하고는 이와쿠라 사절단의 이동 경로와 일치한다. 『고등소학독본』에서 나타나는 타국을 바라보는 시선은 이와쿠라 사절단의 시선과 마찬가지로 ‘문명’이라는 유일한 소실점으로 수렴되는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고등소학독본』의 편집방침
 3. 『고등소학독본』에 나타난 심상지리
 4. 마치며
 참고문헌
 References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삼헌 Park, Sam Hun.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부교수,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소장
  • 권희주 Kwon, Hee-J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