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대학환경에서의 소셜러닝 국내 연구 동향 고찰

원문정보

Domestic Research Trends of Soc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이정민, 박현경, 정연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soc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nd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social learning. The 63 articles on social learning were finally analyzed, which were published in KCI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respect of research contents, the research area of utilization and the survey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ose studies. Secondly, as to the use of SNS, the analyzed studies were centralized on Facebook and Formal Structured Learning. Thirdly, as for the effectiveness of SNS,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social learning has an effective impact on the learning outcomes, learning process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urvey studies most frequently set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ver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ocial learning, and providing the preliminary data to facilitate the performance for the effective social learning.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대학환경에서의 소셜러닝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소셜러닝의 효과성 및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6년간 교육학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소셜러닝 관련 논문 63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적 측면에서는 2010년 이후 소셜러닝 연구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 연구영역와 연구방법은 활용영역과 조사연구방법이었다. 둘째, SNS 활용적 측면과 관련하여 매체유형과 활용목적으로는 각각 페이스북과 형식적 소셜러닝(FSL)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SNS 활용 집단 크기의 경우 연구마다 목적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러닝의 효과성 측면에서 분석된 실험연구들은 소셜러닝이 학습성과·학습과정·학습자특성 변인에 있어 효과성을 향상시켰다고 밝혔으며, 조사연구들에서는 독립변인으로는 학습자 특성 관련 변인을, 종속변인으로는 만족도, 성취도, 참여도 변인을 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환경에서 소셜러닝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효과적인 소셜러닝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SNS와 소셜러닝
  2.2 대학에서의 소셜러닝 활용 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2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연구 내용적 측면의 소셜러닝 연구동향
  4.2 SNS 활용적 측면의 소셜러닝 연구동향
  4.3 소셜러닝의 효과성 측면의 소셜러닝 연구 동향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정민 Jeongmin L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부교수
  • 박현경 Hyeon-Kyeong Park.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석사과정
  • 정연지 Yeon-Ji J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