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level,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on life satisfaction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김대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on hop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through hope. The Korean ability of these laborers was intermediate level where they performed well in reading while they showed low performance in speaking and liste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pe mediates the effects of Korean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and do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that the better they hope the bigger life satisfaction gets implied that hope is the immediate cause of life satisfaction. Third, for their hope, we should provide not only language education but also opportunities for the perception that the role of family and neighbors is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facilitate active movements with the local community so that the migrant laborers take part in roles as members of society. Further we need to operat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helping the migrant labores to adapt their lives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 사회적지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희망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및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희망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은 중간 정도이며, 읽기는 높은 반면에 듣기와 말하기는 낮게 나타났다. 희망의 매개 역할을 통계적으로 검증해본 결과, 희망은 한국어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도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희망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주노동자의 희망에 언어교육뿐만이 아니라 그들에게 가족과 이웃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식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주노동자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공동체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이와 함께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해야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이주노동자의 생활만족도
  2.2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과 생활만족도와의관계
  2.3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2.4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지지가 희망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3. 연구 모형
 4. 연구 방법
  4.1 연구대상
  4.2 측정도구
  4.3 자료 처리 및 분석
 5. 연구 결과
  5.1 측정변인들의 정규성 및 기초통계
  5.2 확인적 요인분석
  5.3 측정변인 간의 상관계수 및 기술 통계치
  5.4 연구모형 검증
  5.5 매개효과 검증
 6.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대명 Dae-Myung Kim. 광양보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