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ociety is operating with software and a new digital era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started. A variety of fields are be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ased on computing. As problems in real life become more complicated and communication based on various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skills are emphasized, these changes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ese changes started from overseas in advance then Korea includes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revision of 2015. On the other hand, SW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just starte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new SW education highlights and develops Computational Thinking beyond programming and it will be a key for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examples of CT courses in Universities. Suggestions and ideas for instructional model to develop Computational Thinking were discussed.
한국어
사회 전체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되고, 사물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시대가 시작되면서 서로 융복합적으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함께 실생활의 문제들이 복잡해지고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미 해외에서 먼저 시작되었고, 국내에서는 2015년도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초중등에서도 SW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하게 되었다. 반면 대학생들을 위한 SW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최근에서야 그 움직임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현재 SW교육은 단순 프로그래밍교육이 아닌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동향분석과 함께 대학SW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해서 국내외 대학들이 관련 코스들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컴퓨팅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컴퓨팅 사고력
2.1 컴퓨팅 사고력 개념 및 특성
3. 국내외 컴퓨팅 사고력 교육 사레
3.1 국내대학 컴퓨팅 사고력 교육
3.2 해외대학 컴퓨팅 사고력 교육
4.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4.1 컴퓨팅 사고력 실행 교육과정
4.2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