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경문헌 연구

솔로몬의 지혜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비 이해

원문정보

Understanding God's Mercy in the Wisdom of Solomon

천사무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seudo-Solomon’s understanding of God’s mercy in the Wisdom of Solomon 11:15-12:27, where its author presents God who provides mercy upon even the wicked, the Egyptians and Canaanites, as well as the righteous, the Israelites. To do so, I analyze the text exegetically, apply his presentation of God’s mercy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anti-Jewish riot in Alexandria in 38 C.E., and find out its social function. I insist that Pseudo-Solomon’s idea of God’s mercy reflects universalism. Tha is to say, God’s mercy is impartially paid on both the just and the wicked, because God, as the Creator with unlimited power, takes care of the creatures. Such a way of providing mercy is also the way of God’s punishing sinners, because it is also the way the wicked are enabled to realize their sins and to believe in God. Taking the opportunity of their committing sins, God gradually punishes them for their repentance. Nevertheless, they never repent, because they do not have reasonable discernment. As a result, they cannot escape God’s final judgment. This means that Pseudo-Solomon recognizes the free will of the wicked, even though he exaggeratedly describes their inborn nature as evil. On the other hand, the righteous quickly repent by being lightly punished and return to God, through which they realize that the just should not only love human beings but also seek God’s mercy with their repentance even in the context of their comitting sins. Through such an idea of God’s mercy, Pseudo-Solomon would try not only to make the Alexandrian Jews, who suffered by the anti-Jewish riot in 38 C.E., find their self-identity, but also to suppress their intention of retaliating upon their enemies and their expectation of the attackers’ immediate destruction.

한국어

본 논문은 솔로몬의 지혜서 11:15-12:27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비를 탐구하는 것인데, 저자는 본문에서 하나님이 의인들인 이스라엘 뿐 아니라 악인들인 이집트인과 가나안인에게도 자비를 베푼다고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본문을 주석적으로 분석하고 저자의 자비사상을 기원후 38년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일어난 반유대인 폭동의 역사적 상황에 적용하면서 이의 사회적 기능을 탐구한다. 본 논문은 저자의 자비사상이 보편주의를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즉 하나님은 무한한 힘을 가지고 피조물을 돌보시는 분이기 때문에 의인과 악인에게 공평하게 자비를 베푸신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비 방법은 죄인들을 징벌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죄인들의 죄를 깨닫게 하고 그들이 하나님을 믿게 하는 방법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즉 그들의 회개를 위해 하나님은 죄를 지은 것을 통해서 점진적으로 징벌하신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악인들은 이성적인 분별력이 없기 때문에 회개하지 못한다. 그리하여 그들은 최후 심판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이것은 저자가 비록 악인들의 타고난 본성이 악하다고 과장되게 묘사하지만 악인들의 자유의지를 인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 의인들은 하나님의 가벼운 징벌을 받고 빨리 돌이켜 하나님께로 나아가고, 인간에 대한 사랑과 자비를 배운다. 이러한 자비 사상은 저자의 독자들이자 반유대인 폭동을 경험한 알렉산드리아 유대인들에게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게 했을 뿐만 아니라 보복심이나 적들의 임박한 파멸에 대한 기대를 억누르게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1. 서론
 2. 본문(11:15-12:27)의 문학적 구조와 위치
 3. 하나님의 자비의 보편성(11:15-12:2)
 4. 하나님의 자비와 징벌의 관계(12:3-18)
 5. 하나님의 자비의 교육적 기능(12:19-22)
 6. 하나님의 자비와 최후 심판의 불가피성(12:23-27)
 7. 지혜서 자비사상의 특징과 사회적 기능
  1) 자비사상의 특징
  2) 자비사상의 사회적 기능
 8. 결론
 9.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천사무엘 Samuel Cheon. 한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