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청대(淸代)의 궁중 무속, 살만교(薩滿敎)의 위상

원문정보

The Position of Court Shamanism in Qing Dynasty

이희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court of Qing dynasty, Shamanism was taken very seriously from the first to last Emperor. Specially Emperor Qianlong systemize the Shaman rituals for the court and Mauchurian tradition. The founder of Qing dynasty, Nuruhachi(努尔合赤)used to pray for his victory and army security in front of before the spirit of anscitor before dispatch of troops. Personally he led various generals and soldiers to stay at the Liaoyang(遼陽) and emerging the person concerned performs religious services led the army in Shaman Shrine. In 1621, Nureuhachi also built up a Shaman shrine (堂子) in Shenyang where Qing dynasty of the important capital, Beijing also built this shrine in 1644, where was the sacred hall for shaman ritual. The emperor Qianlong published ‘The code book of court shaman rituals’ that manchurian titled ‘manjusai wecere metere kooli bithe’ in 1747. This book translated into Chinese and published in 1780. Qing dynasty hope to keep an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culture of Manchurian traditional shamanism (薩 滿敎) and they added court rituals and perform them depend on this code book. Qing Dynasty court strictly regulated and make the shaman rituals at court that the participating only Royal family's and Manchurian families, but the lords and ordinary peoples of the Chinese Han tribes can not participate. Full rituals depend on books and preserved as a court event. Manjurian call it the Shamanism and they respect Shaman as a mediator between gods and men. Shamanism is the traditional religious and the status is one of the very high, but this religion was never propaganda for other nations. Therefore, this insular and occult Shamanism in the court disappeared along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Qing Dynasty.

한국어

청나라 시대의 궁중에서 처음부터 무속은 중시되었으며 특히 건륭황제는 민간의 무속을만주족의 문화라고 보고 궁중에서의 의례로 정형화 계통화시켰다. 태조에서부터 마지막 황제부의에 이르기까지 역대의 황제들도 궁중에서 무당의 의례를 존중하고 정규적 혹은 비정규적으로 의례를 지속시켰다. 청의 태조인 누루하치(努尔合赤)는 출병에 앞서서 조상신 앞에 자신과 군대를 보호해 달라는 기도를 했다. 친히 여러 장군들을 인솔하고, 병사들을 요양(遼陽)에 두고 신당인 당자(堂 子)에 제사지내고 군을 이끌고 남하했다. 1621년 누르하치는 심양으로 천도하고, 심양에 당자(堂子)를 세우고, 청나라 순치 원년(1644)에, 북경에도 당자(堂子)를 세웠는데 이 공간은 무당 제사의 신성한 전당이다. 건륭 12년(1747)에 황제는 ‘Manjusai wecere metere kooli bithe’라는 제목의 만주어 전례를 편찬했다. 이 책이 한역되어 1780년에 만주 제신제천 전례(滿州祭神祭天典禮)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이 책은 청나라의 황실이 만주문화의 멸실을 방지하기 위해 만주족의 전통인 무당신앙 곧 살만교(薩滿敎)를 계통화시키고 전례화하여 청나라 궁중의례가운데 추가시켜영구보존하게 하였다. 청대 궁중 무당제사는 전례의식을 만들어, 엄격하게 제한하고 궁중에 있어서 당자와 종실의 각 성씨들 만이 참여하고 한족의 관원과 일반백성들은 참가하지 못하고, 구체적인 의례는다만 전적에 의거하여 궁중행사로 보존되어 왔다. 만주족들은 무속을 살만교라고 하여 신성시했다. 또 무당을 신과 인간의 중개자로서 존중했다. 만주족에게 있어서는 그 위상은 하나의정통적 종교로서 매우 높았지만 다른 민족들에게 적극적으로 포교하는 종교와는 달랐다. 다소배타적이고 신비적인 살만교는 청나라의 소멸과 더불어 그 위상도 소멸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민간에서의 무속
 3. 청대 궁중의례로서의 무속
  1) 무당의례의 종류
  2) 무당의 지위와 의례공간
  3) 기원의 내용
  4) 자연숭배의 경향
  5) 금기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희재 Lee, Hee-Jae. 광주대학교 국제언어문화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