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mparative Effects of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on EEG for Middle-aged Women: 108-Prostration, Reciting Sutra, Focused Breathing & Consciousness-Only based Mindfulness

원문정보

불교수행이 중년여성의 뇌파에 미치는 효과 - 백팔배 독경 호흡관 유식기반 사띠명상 수행기법의 비교

Jeongil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xperimental research examin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Buddhist meditation techniques of Korean Buddhism on physiological indicators(EEG) for middle-aged women. Using a pretest posttest nonequivalent group design, 19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groups(108-prostration, reciting sutra, focused breathing, and Consciousness-Only based mindfulness). EEG data was recorded 5-minute before and 5-minute after the treatment for three data collection session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a computerized polygrap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EEG with all the four meditation techniques after the treatment compared to before. The bands and regions in EEG changed significantly, with different topography from each of the four meditation techniqu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ernized population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in spirituality and intellect as well as psychology can be benefited from each of the different effects researched when they do Buddhist meditation for their spiritual enhancement(e.g.,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nto wisdom) and/or secular issues (e.g., alleviat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ain). These suggest further researches to scientific experimental studies to boost into development of tailored meditation programs for the ordinary population in modern society to ultimately transform their afflictive minds to wisdom and be free from suffering(苦).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불교 수행법들 중 재가불자들이 경험하는 백팔배, 독경, 호흡觀, 유식기반 사띠 명상 수행기법이 중년여성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 하였다. 일상생활 스트레스 정도가 높다고 자가 평가한(self-assessed) 재가 중년여성들이 네 처치그룹(백팔배, 독경, 호흡명상, 유식기반 사띠 명상)에 무작위 배정된 후, 그 처치그룹의 수행법을 직접 실행하는 기간 동안 수행법 실행 전과 후의 EEG 반응을 비교하였다. 자료 수집은 처치 5분 전과 5분 후에 나타나는 뇌파(EEG)를 기록하고, 그 자료들을 SPSS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네 가지의 각 수행법은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유의미하게 변화하였으며, 그 변화정도 및 변화된 대뇌피질영역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현대사회 다양한 특성을 지닌 대중에게 적합한 불교 수행법 안내의 자료로 중요한 의의를 지니며, 불교수행을 통한 깨달음 추구 및 심리적 고통 감소 등의 현실적 문제 해결을 희망하는 불자들에게 실증자료기반 방편으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 일반대중 및 재가불자들이 미혹한 마음을 벗어버리고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돕는 불교적 방편이 각 개인의 근기와 요구에 맞게 제시될 수 있는 불교수행법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
 I. Introduction
 II. Methods
  1. Participants
  2. Research Design
  3. Settings
  4. Ethical Consideration
  5. Data Collecting and Its Analysis
  6. Treatment & Its Implementing Procedures
 III. Result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Dependent Variables within Group
  2. EEG
 IV. Discussion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Jeongil Kim 김정일. Doctoral student in Seon(禪) Studies, Donggu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