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불교 식문화의 특징과 연구 활성화 방안 - 제1차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토대로 -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Food Culture in Korean Buddhism

김현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have carried out a research under following title: interviews to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for identifying traditional temple food.” It was a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y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Korea Buddhism of Jogye Order) during 26 March to 21 June 2013. The main aim of this survey was that to recor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temple food, based on oral statement from senior buddhist priests and monastic cooks. I have looked the origination of Korean monastic food, since fundamental identity of temple food needed to be confirmed. In order to identify temple food, history of temple food within korea Buddhist history should be traced. For this project, we tried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korea temple food. Then the origins of Buddhist food culture was necessarily looked at to meet it next. For this research, data for the traditional diet and the food culture of temple had to be collected. Furthermore, from influence of westernized or modernized diet and food, traditional diet and the culture of temple food are disappearing so that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already gone and is going to be disappeared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There are two ways of study. On the one hand, we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foo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related Buddhist literatures and learning from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and temple cooks about various experiences of food culture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On the other hand, figuring out of the transmission lineages and recipes in the case when they have a regional specialty or peculiarity. First of all, securing the literal source of temple food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econdly, collecting the materials mentioned about rol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temple food appearing on East Asia Buddhist culture. Finally, it brings about a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mple food culture based on interview survey of the senior monks and nuns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I have realiz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Korean temple food. In particular, all monks emphasize recipes and diet that correspond to the very spirit of Buddhism. Although each temple has a wide variety of recipes because of using other indigenous ingredients. Thus, sharing temple food with public should be focu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mple food. Since Korean temple cuisine is not merely vegetarian dish, but also meant to achieve self enlightenment, most of senior monks and nuns told us that it is important to remain a state of mind and morality to practitioner's position. In the words of many senior monks, the original spirit of these Buddhist temples and practitioner's position is fully incorporated into.

한국어

필자는 지난 2013년 3월 26일부터 6월 21일까지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이 기획한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였다. 원로스님, 공양주보살, 그리고 사찰음식 연구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분들의 구술 내용에 근거하여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는 사찰음식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한다는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떤 음식을 사찰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사찰음식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불교 내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확인하며, 그에 부합하는 사찰 식문화의 원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에 대한 자료 수집을 진행해야한다. 더불어 이러한 자료 수집은 서구화·현대화된 식생활 문화의 영향으로 사찰 식문화의 원형성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는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자료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식문화의 원형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사찰음식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불교경전에서 확보하고,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나타난 사찰음식의 역할, 기능, 그리고 위상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원로스님들로부터 출가 당시의 사찰 먹거리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듣고, 특색이나 지방색이 있는 음식을 만들어 드셨을 경우 전승경로와 조리법을 파악했다. 이는 인터뷰설문에 근거하여 원로스님들의 출가 당시를 기준으로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한 특색을 정의하기 위해서였다. 필자는 이상의 조사의 과정에서 사찰음식의 원형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사찰마다 서로 다른 지역적 환경에 따른 특산물을 이용한 조리법은 다양했지만, 불교의 근본정신에 부합하는 음식 조리법과 식사 방식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현대에서 사찰음식이 대중에게 향유되는 방향성도 그 근본정신에 맞추어져야 한다. 사찰음식은 단순히 사찰에서 먹는 채식위주의 식단만이 아니라 불도를 이루기 위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으로 먹는 수행인의 식사인 것이다. 많은 원로스님들의 말씀 속에는 이러한 사찰음식의 본래정신과 수행자의 자세가 충분히 담겨져 있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며
 Ⅱ.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의 개요 및 내용
  1. 조사 목표 및 조사 대상
  2. 조사 방법 및 내용
  3.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 내용
 Ⅲ.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의 중요성과 활용방안
  1. 구술사의 관점에서 녹취자료의 중요성
  2. 구술자료의 활용 사례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구 Kim, Hyun-gu. 전남대학교 철학과, BK21플러스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