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산회상의 수행적 이해 - 사념처 수행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Understanding of Yongsan-Hoesang on the Study of Buddhism - Through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

안승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Dae-Ak-Huu-Boh』(大樂後譜, 1759), Youngsan-Hoesang originally had its text being “Youngsan-Hoesang-Bul-Bosal”, that means “Buddha preaching on the mount of Youngsan.” Also, Youngsan-Hoesang is referred to as the sermon on the mountain of Youngsan, a Buddhist chant. Regarding of those, it is natural to think that Youngsan-Hoesang belongs Buddhism. Through Buddha’s point of views for music, praising Buddha via music is not only good for the practice of Buddhistic austerities and but also good for the practice good deeds. Based on this point, I would like to research about “The Understanding of Youngsan-Hoesang on the Study of Buddhism through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he meaning for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re ① watching carefully one’s body(身), ② being fully aware of one’s senses(受) and ③ practise of watching one’s mind(心). And, if he or she has naturally fulfilled the three foundations of mindfulness, ④ being fully aware of laws(法) will be come after.

한국어

조선 초기 세조 때 의 음악을 기록한 『대악후보』에 따르면, 영산회상은 일곱 글자의 찬불 가사(영산회상불보살)를 지닌 성악곡 이였음을 알 수 있다. 영산회상의 의미 또한 ‘부처가 영취산에서 모든 대중과 보살들에게 법화경을 설하는 광경’을 묘사한 것으로서, 이는 영산회상의 불교적 위치를 생각해 보게 한다. 비록, 조선 후기를 지나면서 영산회상 음악이 기악합주곡 형식으로 변모되었지만, 영산회상의 本流는 佛家에 있음이 분명하다. 부처의 음악관을 통해 알 수 있듯이, 佛德을 찬탄하는 기악은 수행자와 재가자 모두에게 수행적 유익함과 무량한 공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영산회상의 수행적 이해를 사념처 수행법 중심으로 고찰한다. 몸에 대한 알아차림과,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마음에 대한 알아차림을 영산회상과 연계하여 그 수행적 합치점을 살펴 본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수행법이 결국 현상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논한다.

목차

한글요약
 I. 들어가는 말
 II. 영산회상
  1. 영산회상의 구성과 의미
  2. 영산회상의 수행적 이해
 III. 사념처수행과 영산회상
  1. 사념처관
  2. 사념처와 영산회상의 수행적 합치점
   1) 身念處와 오불탄
   2) 受念處와 온전한 청음
   3) 心念處와 진정제로서의 영산회상
   4) 法念處와 세 가지 수행
 IV. 마치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승철 Ahn, Seung-chul.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