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치원에서의 읽기, 쓰기 교육 실태 및 교사 인식

원문정보

The Current Stat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t Kindergartens

김순환, 김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instruction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its content and methods at kindergart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m, thus analyzing problems with th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nd figuring out the level and scope of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for desirabl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d 302 homeroom teachers for three-, four-, and five-year-olds at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e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showed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by the ages between most teachers and the Nuri Curriculum for the age group of three to five. The content of writing instruction for four-year-olds was, however, similar to that of writing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for the same age group. The teachers employed informal and non-directive educational methods, and the largest percentage of kindergartens used the set of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e Nuri Curriculum published by I company with few using workbook materials. Secondly, the teachers had the following perceptions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er content of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by the ages between most teachers and the Nuri Curriculum for the age group of three to five. Teachers' perceptions of proper content of writing instruction for four-year-olds were, however, similar to the Nuri Curriculum for the same age group. As for their perceptions of methods and materials f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the teachers displayed a preference for whole language approach-based writing and writing education methods and material utilization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a statement of educational content so that teachers can make accurate judgments of young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levels and implement a balanced language approach that includes both the Phonic-Based Teaching Method a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which should be considered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한국어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읽기, 쓰기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지도 실태와 교사 인식 조사를 통해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수준의 내용 범위와 교육 방법이 요구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 3-5세반 담임교사 302명이었으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읽기와 쓰기 교육 실태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 읽기, 쓰기 지도 내용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내용과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만 4세 쓰기 지도 내용은 만 4세 누리과정의 쓰기 교육내용과 유사하였다. 교육방법은 비형식적, 비지시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교육 자료는 I사의 누리과정 언어교수자료세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학습지를 사용하는 유치원은 많지 않았다. 둘째, 읽기와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은 다음과 같다. 연령별로 적합한 읽기, 쓰기 지도 내용에 대한 교사 인식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내용과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만 4세에게 적합한 쓰기 지도 내용에 대한 교사 인식은 만 4세 누리과정의 쓰기 교육내용과 유사하였다. 읽기, 쓰기 교육 방법과 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들은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 근거한 읽기, 쓰기 교육 방법과 자료 활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내용 범위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 진술의 개선이 요구되며, 부호중심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 접근법이 혼용된 균형적 언어 접근법이 적절한 교육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유아 읽기ㆍ쓰기 교육 내용 및 방법 
  2. 선행연구 분석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1. 유치원에서의 읽기, 쓰기 교육 실태
  2. 유아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순환 Kim Soon Hwan.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
  • 김희영 Hee-Young Kim.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