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업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학교풍토가 교사전문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Effect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Distributed Leadership, School Climate on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전상훈, 이일권, 조흥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Instructional Leadership, Distributed Leadership, School Climate a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s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ndertaken with SPSS 12.0. Th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First, how do the variables of this study(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Instructional Leadership, Distributed Leadership, School Climate) relate each other? Second, how do the variables of this study(Instructional Leadership, Distributed Leadership, School Climate) affect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Major findings from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analysis results, we could find a correlation between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Instructional Leadership, Distributed Leadership, School Climate. Second, School Climate had effects on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Third, Instructional Leadership, Distributed Leadership had effects on School Climate. We suggested some policy suggestions as following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improve School Climate to activate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Seco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utilize Distributed Leadership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to improve School Climate.

한국어

이 연구는 학교변화의 바람직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교사전문공동체에 대해 수업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학교풍토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초등학교 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전문공동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학교풍토 변인만 유일하게 교사전문공동체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풍토 변인에 대해서는 수업지도성과 분산적 지도성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분산적 지도성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사전문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학교풍토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수업지도성과 분산적 지도성의 발휘가 요청되는데, 특히 교사들의 협력과 자율을 기반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교직발전 모델을 구상하고 실천하기 위해서는 분산적 지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장이 주도하는 수업지도성의 경우, 갈등의 소지가 큰 직접적인 교실 수업장학과 감독형태 보다는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조직학습 풍토를 조성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재개념화하여 행사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수업지도성
  2. 분산적 지도성
  3. 학교풍토
  4. 교사전문공동체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
  2. 측정 도구 및 자료의 처리
 IV. 분석 결과
  1. T - Test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회귀분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상훈 Jeon Sang Hoon. 고려대학교
  • 이일권 Lee, il Kwon. 고려대학교
  • 조흥순 Cho, Heung Soon. 중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