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A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정미라, 이미나, 강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268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 indirectly through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kindergarten teachers’. Thus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a mediating effect that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 indirectly through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Thus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had a mediating effect that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to improv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kindergarten environment to support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의 유치원에 근무하는 초임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 및 Mplus 6.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지원환경은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주도학습은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 지원환경은 교직전문성 인식을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직전문성 인식은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직의 환경적 특성과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III. 연구결과
  1. 기술통계
  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3. 측정모형 검증결과
  4. 연구모형 검증결과
  5. 최종 모형의 매개효과 분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미라 Chung Mi ra.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 이미나 Lee, Mi Na. 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연구교수
  • 강수경 Kang, Su Kyoung.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