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김유정의 문학작품과 독서토론 교육의 의의

원문정보

Educational Significance of Kim Yujeong’s Literatures and Reading Discussion

최선영, 차봉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discussion with a case analysis of reading discussion class in university that used Kim Yujeong's novels as the text for literature reading education. Many universities emphasize reading education as part of their basic general education with the aim to foster intellectual human beings who can express their humanistic insight and their reflections on human society. Their intent of reading education is not to train students as specialists related to reading but to help them cultivate fundamental mental attitude and behavioral principles to maintain a health society. As means of reading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has the best conditions to form a reader-oriented public sphere and accommodate a variety of value systems. Accordingly, qualitative analysis of lecture materials presented in class and class management experience is presented as the methodology of the present study. Chapter 2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discussion classes for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 important goal of a collegiate university is implementing general education to provide a balanced education covering a wide variety of knowledge systems. It can be stated that the role of gene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gather various opinions to practice balanced and open thinking. One way of implementing this is by conducting discussions involving many people through which students acknowledge differences and acquire the clue to constructive thinking. Education, therefore, have changed from teacher-initiated unilateral instruction to student-oriente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s a way to promote students’ ability to solve any problem independently. The key to reading discussion, then, is not on what or how much to read, but on ‘how’ to read. When a student masters this method of education, he/she will be able to maintain a unique method of reading that is autonomous and independent. Chapter 3 examined the case of reading discussion class covering novels by Kim Yujeong and discussed the possibilitie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literatures as teaching materials. Focusing on the case of reading discussion class using Bom Bom (Spring Spring) and Manmubang (The Rascals),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short and simple stories induced discussions about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the young, subtl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and the structure of labor exploitation withi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genre theory, the discussions demonstrated that these novels (or short stories) embody the sociological method of interpretation which consider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from which the novels were written. Analyzing how these literatures are interpreted through discussions,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Japanese occupation when a person's effort to overcome poverty was futile and that further questions can be raise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open ending of the stories. In conclusion, through these discussion lessons students can spontaneously focus on their reception of the literary works and develop their own way of discerning literary works and society. Implementing these discussion classes as part of the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important because students will view literature not as exclusive property limited to specific departments but as a common critical criteria to assess a society as well as plays(games) easily accessible to various students across majors. It is important because students grasp the meaning of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only when they apply the analytic methods of focusing on the receptive aspects of the work whil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inner and external struc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engaged in these discussion-based literary criticism not only approach the literary work with a contemporary perspective but also pays attention to the its implication for social problems today.

한국어

본고는 김유정의 소설을 문학 독서 교육의 텍스트로 설정하여, 대학에 독서 토론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많은 대학에서 기초 교양 교육의 일환으로 독서 교육을 강조하고, 인문학적 통찰력과 인간 사회에 대한 성찰을 표현할 줄 아는 지적인 인간으로의 육성을 교육하고 있다. 이는 독서를 통해 그와 관련한 전공자를 육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신자세와 행동원칙을 기르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 독서 교육으로써 문학 교육이야말로 다양한 가치 체계의 수용과 독자 중심의 공론장을 형성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수업에서 진행된 강의자료 및 수업 운용 경험의 질적인 분석이 연구의 방법론으로 제시되었다. 2장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독서토론 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수업의 한 방식을 제시하였다. 종합대학의 중요한 목적은 다양한 지식 체계의 균형 있는 교육을 위해서 교양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때문에 교양 교육의 역할은 학생들이 균형 있고 열린 사고를 위해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도록 돕는 것이고 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여러 사람과의 토론을 통해서 차이를 인정하고 발전적 사고의 단초를 획득하는 방식이 있다. 이로써 교육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 아니라, 무엇이든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키는 방편으로써 발표와 토론식으로 변화해온 것이다. 관건은 무엇을 얼마나 읽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읽느냐이다. 학생들이 이러한 교육방식을 완전히 체화하면 수업이 끝난 후에 각자의 책을 읽을 때에도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자신만의 독서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3장은 김유정 소설을 통한 독서토론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문학을 재료로 삼은 토론 수업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본고는 「봄·봄」과 「만무방」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짧고 단순한 이야기 속에서 장서 갈등은 물론이거니와 남녀 간의 미묘한 심리 차이부터 현대 사회에서 행해지는 이른바 노동력 착취구조의 양상도 고찰할 수 있었다. 소설을 장르론적 관점에서 그것이 탄생된 사회, 역사적 조건을 고려하는 이른바, 소설 사회학 방법적 해석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개인적 노력으로 가난 극복이 불가능했던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 상항에 대한 이해와 열린 결말이 암시하는 바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토론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작품의 수용에 초점을 맞추고 문학과 사회에 대한 나름대로의 안목을 갖는다.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이러한 토론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문학을 특정 학과의 전유물로 한정짓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 누구나가 쉽게 접근 가능한 놀이로써 한 사회를 진단할 공통된 하나의 비평적 준거로 여길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렇게 학생들이 소설의 내적인 구조와 외적 구조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며 작품의 수용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해석적 방법을 통할 때, 비로소 시대를 초월한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토론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문학 작품이 창작될 당대는 물론이거니와 현재의 사회적 문제에도 관심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목차

1. 들어가며
 2. 대학 교양교육에서 독서토론 교육의 의미와 원리
 3. 김유정 소설을 통한 독서토론 수업 사례와 의의
 4. 나가며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영 Choi, Sun-Young.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 차봉준 Cha, Bong-Jun.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