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yberspace-Supervision

원문정보

인문고 교사들의 사이버 장학에 대한 인식 연구

이윤식, 송종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on the basis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1) the current status of cyberspace-supervision performed at the level of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 the problems of cyberspace-supervision, (3)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yberspace-supervision.
Two major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analyzing the internet-homepages of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 questionnaire concerning cyberspace-supervision was made. 338 high school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out of 360 sampled high school teachers in Kyunggi Provinc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1)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to have proper understanding of cyberspace-supervision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2)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to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competencies in using internet programs should be provided. (3) The data of cyber-supervision contained in internet homepages should be more teaching- learning oriented rather than management-administration oriented. (4) For more speedy and effective access of teachers to internet homepages, the computer capacity and speed should be upgrade. (5) There should be Experts and sufficient budget for managing and operating internet homepages and cyberspace-supervision of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한국어

교사들과 장학 담당자간의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며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장학 형태의 하나로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 장학이 활용되기 시작한 바,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자료 및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의 분석과 인문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조사·분석을 통하여, 시·도 교육청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버 장학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인문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사이버 장학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이버 장학의 발전과제를 알아보았다. 인문고 교사들은 실업고 교사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등 새로운 정보·통신매체에 대하여 덜 익숙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교 교육의 중추를 이루고 있는 인문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정보·통신매체를 활용하게 되는 사이버 장학에 대하여 인식하는 문제점과 발전과제에 대한 기초적인 탐색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사이버 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제언되었다. 사이버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인터넷 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해 홍보·연수활동이 요구된다. 교육청의 홈페이지 체계를 교과지도, 생활지도, 특기적성지도 등을 포함하여 교육활동의 본질적인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서비스 중심으로 개선하도록 한다. 교사들이 사이버 장학 웹사이트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활용하고 있는 인터넷 LAN망을 고속화하고 컴퓨터의 속도와 용량도 증대되어야 한다. 교육청에서 사이버 장학을 잘 운영하기 위해서, 사이버 장학 웹사이트를 운영·관리할 수 있는 전문성을 지닌 전담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목차

I. 서론
 II. 사이버 장학의 개념과 활용
  1. 장학의 일반적 개념
  2. 사이버 장학의 개념
  3. 사이버 장학의 필요성과 활용
  4. 사이버 장학에 관련된 선행연구
 III.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 연구의 대상 및 표집
  2. 조사 도구 및 자료 처리
 IV. 연구의 결과 및 해석
  1. 시 ㆍ도교육청의 사이버 장학의 운영 현황
  2. 사이버 장학의 활용과 문제점
  3. 사이버 장학의 발전 과제
 V. 결론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윤식 Lee, Yun-Sik. 인천대학교 교수
  • 송종규 Song, Jong-Kyu. 부천북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