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의분산 반응비율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istraction Response Ratio Approach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안선희, 김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ested the distraction response styles ratio approach(mood avoidance score divided by the mood regulation response score)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N=400). Previous studies purposed that distraction response styles were divided into two styles: mood avoidance response style(a negative distraction) and mood regulation response style(a positive distraction). This study examined if distraction response ratio scores explained more variance in depression than each type of two distraction response styles.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mood avoidance sco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scores, and higher mood regulation response score was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on scores. Second, the higher distraction response ratio was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scores than each type of two distraction response styles. Distraction response ratio explained more variance in depression than each type of two distraction response styles. Third, the distraction response styles ratio scores accounted for more variance in depression controlling for rumination response style. Finally,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limitations and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two distraction respons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주의분산, 즉 기분회피와 기분조절이 우울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알아보고, 비율접근을 활용하여 두 가지 주의분산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응양식 척도(RSQ)와 우울기분 반응양식 척도(DMRQ), 역학조사센터 우울증 척도(CES-D)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분회피 반응양식(부적응적 주의분산)은 우울의 증가를, 기분조절 반응양식(적응적 주의분산)은 우울의 감소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두 가지 주의분산 점수를 사용한 비율점수(기분회피/기분조절)는 우울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그 설명량은 기분조절과 기분회피 점수 각각이 설명하는 것보다 컸다. 셋째, 비율점수는 또한 기존의 반응양식에서 가장 큰 설명량을 가졌던 반추 반응양식을 통제한 후에도 우울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량을 보였다. 이 결과는 주의분산이 두 가지 반응양식(기분조절과 기분회피)으로 나누어 고려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주요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두 가지 주의분산 반응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의분산 반응비율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기분조절 반응양식과 기분회피 반응양식의 고-저에 따른 집단별 우울 점수의 차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선희 Seonhee An. 아주대학교부설 아주심리상담센터
  • 김은정 Eunjung Kim.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