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Using SBI Model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nglish Major Students

김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arner Autonomy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individual learners have a natural tendency to take control over their own learning and they are able to control, manage, and monitor their own learning process. Since foreign language learning requires repeated motivational drives, self-regulation, reflection and recursive feedback in the process, autonomous learning or self-directed learning is crucial for successful English learning. While college students are expected to be equipped with learner autonomy, earlier studies in Korea have reported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ir learning process due to the lack of autonomous learning opportun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trategy-Based Instruction(SBI)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fter applying it to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for one semester. The SBI model, which has been developed by adopting Brown(2002), includes self-diagnosing questionnaire survey, self-reflection, learning log writing, and group discussion. After 10 week treatment, the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examined by comparing learning strategy use of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regardless of learners’ English ability level, learning strategy us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aking part in SBI activities. Also, learning strategy use after the treat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learners’intrinsic motivation. From this finding,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briefly discussed and ways of using the SBI model are suggested.

한국어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외국어학습에는 인지요인, 정의요인, 행동요인이 상호작용하면서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자가 본인의 학습동기와 학습성향을 명확히 인지하고, 다양한 학습전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자기주도적인 태도로 학습을 이끌어가는 실천능력이 중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성찰을 통한 순환적 피드백이 끊임없이 관여하기 때문에 학습활동 전반에 걸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Brown은 외국어교수자가 전략기반교수(Strategy-Based Instruction: SBI) 활동을 통해 학습자 자율성의 신장을 도울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가 제안한 전략기반교수활동은 자가진단설문과 조별토론 등을 통해 학습자가 본인의 학습목표와 학습동기, 학습성향과 학습선호도 등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본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학습환경을 객관화하여 본인의 학습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H여대의 영어전공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략기반교수모형을 적용하고, 이러한 활동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에서 연구대상의 학습자성향과 학습동기, 학습전략사용 등을 분석하고, 그에 기반하여 해당집단에 적용가능한 전략기반교수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전략기반교수모형을 영어과 1학년 대상의 전공수업에서 적용하고, 연구집단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측정은 학기 초와 학기 말, 2회에 걸쳐 학습전략의 사용정도를 측정하고 학습일지를 분석하는 간접적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후기청년기(19-25세)에 해당하는 대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SBI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SBI 모델의 활용과 이를 통한 학습자 자율성의 신장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에게 갖는 교육적 의의를 간략히 고찰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개념 및 정의
  2.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인
  3. 외국어학습에 있어서 전략기반교수활동과 자기주도성
  4.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내용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전략기반교수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2. 전략기반교수활동 vs. 영어실력 vs.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3. 전략기반교수활동 vs. 학습동기 vs.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영 Kym, Inyoung. 한양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