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과 동적학교생활화(KSD) 간의 상관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orrelation of KSD with and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Level

서복희, 이근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KSD as a complementary tool of psychological test in evaluating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level. To achieve the goal, KSD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carried out on 293 students who are in two high schools in Gyeonggi-do. For a value of each category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lue of subcategory of KSD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as conducted by SPSS 21, and multi-variant analysis of value subcategory of KSD was done according to the value of each category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KSD variables, the activity area, the characteristic of drawing area, position, distance and barrier area were positively related the subscale of school adjustment, some of them correlated negative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SD as the level of school life adaptation. That is, KSD of the students who got high points in subcategories of school adjustment scale than counterparts had more activity and interaction. Also, in the pictures of high points-group, faces and face expressions were more friendly, length of arms was longer, the kinds of background were more, the barriers were smaller, and the numbers of their friends were more.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is applicability of KSD as the tool to measure level of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평가하는 심리검사의 보완도구로서 동적학교생활화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학생 총293명을 대상으로 동적학교생활화 그림검사와 학교적응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을 사용하여 동적학교생활화 하위영역의 값과 학교적응척도 하위 영역 값 간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교적응 척도 각 영역마다 상, 하위집단에 따라 동적학교생활화 하위영역 간의 값을 다변량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적학교생활화의 활동차원 영역, 그림특성차원 영역, 위치, 거리, 장벽 영역과 학교적응의 하위척도 간에는 부분적으로 정적,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수준에 따라 동적학교생활화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적응 하위영역의 점수가 높은 상위집단의 동적학교생활화에서 활동적이고 상호작용이 많으며, 얼굴과 얼굴표정은 우호적으로 표현되고, 팔이 길게 표현되었다. 배경종류 및 교우수가 더 많고 장애물은 더 작게 그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동적학교생활화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치
  2. 학교적응과 동적학교생활화 간의 상관관계
  3. 학교적응 수준에 따른 동적학교생활화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복희 Seo, Bok-Hee. 평택대학교 대학원 상담학 박사과정 수료
  • 이근매 Lee, Keun-Mae.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