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언공(正言公) 임명주(任命周)의 자필 서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Jeongeongong Im Meong-ju’s Newly Discovered Handwritten Letter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Jeongeongong Im Myeong-ju(1705-1757) in light of his newly discovered handwritten letter by examining his life and academic works, his achievements as written in Nokmunseonsaengmunjib’s memorial inscription and in Yunjidangyugo’s funeral address, and the bibliography and content of his handwritten letter. Im Myeong-ju’s courtesy name was Baek Shin and his family clan was based in Pungcheon. He passed the classics licenciate(saengwon) level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9th year of Yeongjo’s reign(1733) and the higher literary examination in the 23rd year of Yeongjo’s reign(1747). That same year he went through the government post of Hansungchamgun and Saganwonjeongeon to become the Saheonbu jipyung. His time in public office was not long due to an involvement in an incident. He died in Jeonju’s Haksanusa in the 33rd year of Yeongjo’s reign(1757). The origin of his academic studies lay in the late Joseon Dynasty’s Yulgok Giho school’s Jugipa Seongrihak. The sources are Sagye(1548-1631) → Uam Song Si-yeol → Hwang Kang(1641-1721). Through marriage he became connected to the academic branches of No Ga-jae and Kim Chang-eop. Im Myeong-ju wrote the letter on February 8 in the 14th year of Yeongjo’s reign(1738) when he was living in Yeoju in order to ask his father’s second cousin for help gathering travel equipment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letter measures 32.0 cm vertically and 40.5 cm horizontally. The body of correspondence has 18 vertical lines and is blank in the top three horizontal lines. There is a total of 183 letters in the body and 14 letters for years. The words that refer to his father’s second cousin such as ‘myeokhaejigyo,’ ‘hahyejimul,’ ‘gyohasong,’ ‘hahyul,’ ‘baekgub’ and ‘hasong’ are preceded by a blank space to show respect. The item on the very front is the envelope, on which is inscribed ‘族 伯父主前 上書,’ showing that it is a letter addressed to his father’s second cousin. Im Myeong-ju’s calligraphy is based on Ahn Jin Kyung’s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possessing a balance of powerful yet smooth brush strokes and character style and a uniquely natural and vibrant form. The styling of the dots and strokes are ample and witty, having variation for style yet strictly upholding class. The letter is divided into seven paragraphs according to content. The identity of Im Myeong-ju’s father’s second cousin is not clear. He is the one who lent Im Myeong-ju money to prepare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to buy paper for his studies, as well as lending the rest of Im Myeong-ju’s family three months’ worth of food. Although it is not mentioned in the letter, Im Myeong-ju fail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14th year of Yeongjo’s reign(1738) in spite of the help given by his father’s second cousin. It was later in the 23rd year of Yeongjo’s reign (1747) that he passed the singnyeonsi (regular examinations), coming in second in the first level of the literary examinations. This research will henceforward be used in the study of private records and also as the most basic study results in bibliograph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inguistics.

한국어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정언공(正言公) 임명주(任命周, 1705-1757)의 자필 서간을 대상으로 정언공 임명주의 삶과 학문,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의 묘지명과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의 제문에 수록된 정언공 임명주의 관련 행적 및 자필 서간의 서지적․내용적 측면을 연구한 것이다. 임명주의 자는 백신(伯新)이고, 본관은 풍천(豊川)이다. 영조 9년(1733) 생원과에 합격하였고 영조 23년(1747)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해 한성참군(漢城參軍),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의 벼슬을 거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이 되었다. 사건에 연루되어 벼슬생활은 길지 못하였다. 영조 33년(1757) 전주의 학산우사(鶴山寓舍)에서 죽었다. 그의 학문 연원은 조선조 후기 율곡계(栗谷系)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기파(主氣派) 성리학에 두고 있다. 그 연원은 사계(沙溪: 金長生, 1548-1631)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 황강(黃江: 權尙夏, 1641-1721)이다. 혼맥(婚脈)으로는 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의 학맥과도 연관이 되어 있다. 임명주의 자필 서간은 정언공 임명주가 영조 14년(1738) 2월 8일 여주에 살면서 과거시험을 보러 가기 위해 행장을 꾸리는데 필요한 부분을 칠촌 아저씨께 도움을 요청하려고 작성하여 올린 것이다. 서간의 크기(세로 × 가로)는 32.0 × 46.5cm이다. 필첩 전체는 본문은 세로 18줄, 서간 위쪽 여백에 가로 3줄이다. 전체 글자 수는 본문 183자, 자필로 쓴 연도 14자이다. 칠촌아저씨와 관련된 ‘멱혜지교(覓惠之敎)’, ‘하혜지물(下惠之物)’, ‘교하송(敎下送)’, ‘하휼(下恤)’, ‘백급(白給)’, ‘하송(下送)’ 등의 앞에는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공격(空格)을 두고 있다. 맨 앞쪽에 있는 것은 봉투인데 ‘族 伯父主前 上書’라고 되어 있어 칠촌아저씨께 올린 편지임을 알 수 있다. 임명주 글씨체의 특징은 안진경의 행초서에 바탕을 두고 필세(筆勢)와 자세(字勢)가 강하고 부드러운 필세가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면서 자연스러우면서도 생동하는 자태의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결체(結體)는 넉넉하면서 민첩하여 변칙의 멋스러움이 있으면서도 엄정한 품격을 유지하고 있다. 서간은 내용의 전개상 7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임명주의 칠촌 아저씨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는 임명주가 과거시험을 보러 떠나는 채비와 강(講) 하는데 필요한 종이 값을 빌려주고 남은 식구들이 3달 간 곤궁을 면할 수 있는 식량을 빌려준 사람이다. 편지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그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임명주는 영조 14년(1738)의 과거시험에는 실패하였다. 그는 후일 영조 23년(1747)에 식년시 갑과 2등으로 문과에 급제하였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정언공 임명주의 삶과 학문
 3.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의 묘지명과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제문의 내용
 4. 자필 서간문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 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