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Evaluation of Water Extract Prepared from Chrysanthemum indicum Linne as Nutri-cosmetic and Cosmetic Material In Vitro Model

원문정보

감국 물 추출물의 미용기능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탐색

Ryeong-Hyeon Kim, Ji-Hye Song, Myung-Soo Shon, Kae Shik Chun, Sun-Uk Choi, Gyo-Nam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I)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Although several biological effects of CI have been reported, the precise role and function of CI as nutri-cosmetic and cosmetic materials remain unclear. Therefore, we prepared water extract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IW). And nutri-cosmetic potential was discussed through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adipogenic in 3T3-L1 cells and regulatory function of skin fibril-related genes in human skin fibroblast (HSF).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IW was evaluated through metal chelating activity and reduction potential. The cytotoxicity of CIW in 3T3-L1 and HSF was evaluated by MTT assay.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CIW was examined by Oil Red O (ORO) staining and microscopy observation in 3T3-L1 cell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skin fibril-related genes in HSF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IW wa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CIW treatment up to 100 µg/mL for 24 h did not affect to the viability of 3T3-L1 cells and HSF. Thus, up to 100 µg/mL of CIW was chosen in cell-based assay. The treatment of 10, 50, and 100 µg/mL CIW significantly inhibited 3T3-L1 adipogenesis by 5.17%, 72.80%, and 104.09%. In addition, up-regulated mRNA expression levels of skin fibril-related genes such as fibronectin and type Ⅰ collagen α2 (COL1A2) were observed in CIW-treated HSF.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W has the potential as nutri-cosmetic and cosmetic ingredient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한국어

목적: 국화과(Compositae)의 한 품종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은 예로부터 전통적인 약초로 사용되어 왔다. 감국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이 보고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기능식품과 화장품 소재로서 의 역할과 기능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감국 물 추출물(CIW)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 지방축적 억제활성 및 human skin fibroblasts (HSF) 세포에서 피부 섬유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조절 기능을 통해 감국 추출물의 미용기능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CIW의 항산화 활성은 금속 킬레이팅 활성과 환원력으로 평가하였다. 3T3-L1 세포 및 HSF에서 CIW의 세 포독성은 MTT assay로 평가하였다. CIW의 지질축적 억제활성은 Oil Red O (ORO) 염색법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수행하였다. HSF 세포에서 피부 섬유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mRNA 발현 수준은 RT-PCR 분석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금속 킬레이팅 활성 및 환원력을 통한 CIW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3T3-L1 세포 와 HSF에서 CIW를 24 h 동안 처리하였을 때, 100 µ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후 세포실험에서는 100 µg/mL 이하의 CIW를 사용하였다. 3T3-L1 세포에서 CIW를 10, 50, 100 µg/mL의 농 도로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지방축적 억제활성을 나타냈으며, CIW를 처리한 HSF 세포에서 fibronectin와 COL1A2와 같은 피부 섬유와 관련된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을 상향조절 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CIW가 미용기능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어

目的: 菊科植物的一种野菊花已被用来作为一个传统医药。虽然野菊花有很多种生理活性,但是作为美容功能 食品和化妆品原料的作用和功能还没有完全明确。因此通过评价菊花提取物(CIW)的抗氧化活性和抑制脂肪 形成以及在HSF细胞中皮肤纤维相关的基因的调节功能,进一步调查作为美容功能性食品原料及化妆品原料的 可行性。 方法:CIW的抗氧化活性通过金属螯合活动和还原力来评价。3T3-L1细胞和HSF中CIW的细胞毒性利用MTT assay来评价。CIW的抑制脂肪堆积活性通过 Oil Red O (ORO)染色法和显微镜观察来判断。HSF细胞中对皮肤 纤维相关的基因的mRNA表达水平利用RT-PCR分析法来评价。 结果: 通过金属螯合活动和还原力评价的CIW的抗氧化活性随着浓度增加而增加。对3T3-L1 和HSF用CIW经过 24h处理,在CIW200 μM 以下时,3T3-L1细胞和HSF生存率几乎没有影响。因此在以后的细胞实验中使用了100 μM CIW。对3T3-L1细胞分别用CIW10,50,100 μg/mL处理时出现了明显抑制脂肪堆积活性。此外用CIW处理 的HSF细胞中Fibronectin和COL1A2相关的皮肤纤维基因的mRNA表达水平也提高了。 结论: 通过研究CIW作为美容功能食品及化妆品原料具有充分利用的价值。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실험재료
  2. 감국 물 추출물의 제조
  3. 금속 킬레이팅 활성(Metal chelating activity)
  4. 환원력(Reduction potential)
  5. 세포배양(3T3-L1 및 HSF) 및 지방세포 분화
  6. MTT assay
  7. Adipogenesis 억제활성 평가
  8. RT-PCR analysis
  9.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1. CIW의 금속 킬레이팅 활성
  2. CIW의 환원력
  3. 3T3-L1 세포 및 HSF에서 CIW의 세포독성
  4. 3T3-L1 세포에서 CIW의 adipogenesis 억제활성
  5. HSF에서 CIW 처리가 fibronectin 및 COL1A2 발현에 미치는 영향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Ryeong-Hyeon Kim 김령현. D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nam University
  • Ji-Hye Song 송지혜. International Ginseng & Herb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Korea
  • Myung-Soo Shon 손명수.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nam University
  • Kae Shik Chun 전계식. Guksim Co., Ltd., Changwon-si, Gyeongsangnam-do, Korea
  • Sun-Uk Choi 최선욱. D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nam University
  • Gyo-Nam Kim 김교남. D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nam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