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소외감과 박탈감이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석

원문정보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Life Style, Alienation, and Deprivation of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허경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ife style, alienation, and deprivation of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by the consum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examined the effects of life style, alienation, and deprivation of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by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below. First, it is more likely to be alienated when consumers were in unemployment, high school educated, ages over 50's, and having family income over 3,000 thousands Won. The level of deprivation of consumer were high in consumers who had family income over 3,000 thousands Won.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was high in consumers who's age over 50's, and income under 3,000 thousands Won, and having lower family expenditure for a living.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over 50 years old were more likely to be alienated and have high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However, overall, consumers with high family income were less likely to be alienated, bu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consumption life. Third, as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level of consumers' alienation was lowest in active lifestyle focusing hobby. It implies that consumers engaged in active hobby life are less likely to feel alienation. In addition, consumer's positive and satisfied lifestyle effect negatively in deprivation relatively, but consumer's interested in social problem effects positively in deprivation. It implies that consumers who are satisfied in his/hers life, recognized positively for themselves, but consumers who interested in social and political agenda and have strong ideas politically were more likely to be in deprivation. Forth, the high level of consumer's alienation and deprivation decreas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It implies that consumers' alienation and deprivation effects negativel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 스타일, 소비자소외와 소비자 박탈감이 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변수가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취업 소비자, 고졸 소비자, 50대 이상, 300만원 이하의 가계소득을 가진 소비자, 대체로 가게생활비 액수가 적은경우 소외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박탈감 수준의 경우 300만원 이하의 가계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0세이상 소비자와 300만원을 초과하는 가계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소비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50세이상 고연령 소비자의 경우 소비자소외감도 높으며 소비생활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대체로 고소득자는 소비자소외감은 낮고 소비생활만족도는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소외감과 박탈감을 매개변수로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느끼는 소외감은 취미적극형의 라이프 스타일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미활동에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소비자가 소외감을 적게 느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긍정만족형인 경우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덜 느끼는 반면 사회정치관심형은 박탈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소비자는 박탈감을 덜 느끼는 반면 사회와 정치에 관심이 많고 정치적 의견이 강한 소비자일수록 박탈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 소외감과 박탈감 수준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소비생활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소외와 박탈감은 소비자의 소비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라이프 스타일
  2. 소비자소외
  3. 소비자 박탈감
  4. 소비생활만족도
 Ⅲ.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소비자소외와 박탈감, 소비생활만족의 차이 검증
  3. 라이프스타일, 소비자소외 및 박탈감이 소비생활 만족도 영향 구조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경옥 Huh, Kyungok.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