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익캠페인에서 표현된 ‘가족 표상(family representation)’에 관한국가 간 탐색적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ublic Service Campaign Family Representation : Focusing on Korea, USA, Japan TV Public Service Campaign

김혜영, 김소정, 방진숙, 안보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radical social changes, it is certain that modern families are at crisis with a variety of family issues in its formation. For instance, by being consistently exposed on mass media, an average contemporary family televised in Korean public campaigns has been formalized as ‘the family’, that is, the typical Korean family. As a result, any family formation, or typ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amily’ is mistakenly categorized as a non-average family. Thus,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way Korean public campaigns portray types of family, which is the basis of social members. The research also studies American and Japanese public campaigns in the same way for comparison. In addition to that, the research analyzes how ‘the family’ exposed on Korean public campaigns affects TV viewers’ recognition in relation to the types of Korean family. Therefore, the research shall explore the strategic and value-centered measures on enhancing the advisable effect of Korean public campaigns. In th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is u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the interview,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ree countries-Korea, the USA, and Japan-have not represented a variety of family formation, or types in their public campaigns in a balanced way. On the category of Family Ideology, the countries have aired biased types of middle-class family in their public campaigns, but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shown in the category of the Secondary Representation. The research shall explain on the differences later in this paper. Lastly, the research has found that family types on current public campaigns seem to be unfamiliar to the public, such that the effect of the campaigns can be hardly measured. In conclusion, the research insists that Korean public campaigns consider to deploy emotion codes into their contents for Korean TV viewers, and the campaigns should be balanced in representing the formation of a family, or the types of family by handling the levels of the representation in a strategic way.

한국어

현대가족은 급변하는 사회현상과 더불어 가족 구성체에 다양한 문제와 위기를 맞고 있다. 미디어에서는 정상적인 가족에 대한 전형적 모델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정상적인 가족에 대한 모델을 규범화하였다. 이에현대사회에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가족은 비정상적인 가족으로 규정하는 오류를 양산하게 되었다. 따라서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공익캠페인이 사회구성원의 주요 기틀이 되는 가족표상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문화적 차이가 있는 미국과 일본은 가족표상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익캠페인의 가족표상이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과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한국 공익캠페인의 전략적, 가치 중심적 방향성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세 국가 모두현실적으로 다양한 가족 유형을 표상하지 않았으며 가족 이데올로기는 세 국가 모두 편향된 계급인 중산층을 표상하였고, 부차적으로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 또한 현재 공익캠페인의 가족표상은 현실적 가족유형과는 괴리감이 존재해 전달력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존재했다. 결과적으로, 향후 한국 공익캠페인에서는전 세대가 공감하는 감성코드 적용과 다양한 가족표상의 수위를 전략적으로 조절하며 발전시켜나갈 필요가있다.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고찰
  공익캠페인과 사회구조
  가족 표상과 문화적 가치
  미디어와 가족 이데올로기
  공익캠페인 표현전략과 메시지 프레이밍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연구가설
  연구방법
 연구 결과
  한국, 미국, 일본 공익캠페인에 표현된 가족 표상의 가족관계 차이
  한국, 미국, 일본 공익캠페인에 표현된 가족 표상의 표현전략 차이
  한국, 미국, 일본 공익캠페인에 표현된 가족 표상의 메시지 프레이밍, 소구, 모델유형 차이
  한국, 미국, 일본 공익캠페인에 표현된 가족 표상의 가족 이데올로기 차이
  공익캠페인 가족표상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향후한국 공공캠페인 방향성 모색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안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영 Hey-Young Kim.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박사수료
  • 김소정 Sojeong Kim.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석사과정
  • 방진숙 Jinsook Bang.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석사과정
  • 안보섭 Boseob An.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