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연구 : 집계적 자료와 비집계적 자료의 비교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of Subject Well-being : A Comparative Analysis of between Aggregated Data and Disaggregated Data

임보영, 마강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rguing that inferenc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cannot be deduced from inference for the group to which those individuals are belonging to. This kind of ecological inference fallacy, however, has been ignored in the field of life satisfaction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aggregate data analyses are different from those from the disaggregate data analyses.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y inferences obtained from the aggregate data analyses may not be substantiated by analyses of individual level data. This implies that a careful interpretation is needed when the findings from analyses of regional level data are applied to policies aimed to improve the level of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한국어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관심은 지역적 수준과 더불어 개인적 수준에서의 연구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두 수준에서의 연구 모두, 궁극적으로는 삶의 만족도 증대를 위해 국가‧지역 혹은 개인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실증하기 위함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두 수준의 삶의 만족감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국가나 지역 수준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삶에 적용하거나 반대로 개인 수준의 결과를 국가·지역수준으로 적용하려는 시도가 종종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와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집계적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의 결과와 비집계적 자료를 통한 결과가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논증하려 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집계적 자료에서는 고학력자 비율과 조이혼율이 높을수록 지역민의 삶의 만족감이 높음을 보였고, 기초수급자비율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내 소득 격차가 큰 곳일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비집계적 자료에서는 집계적 자료보다 다양한 요인들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집계적 자료에서 나타났던 이혼관련 변수와 기초수급관련변수는 상반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지역적 수준에서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개인적 수준에서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집계적 수준의 만족도 연구를 통한 결론을 개인에게 적용하거나, 혹은 반대로 개인 수준의 분석에서 얻은 결론을 국가‧지역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고려할 때, 보다 신중한 해석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2.1. 생태학적 오류
  2.2.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
 3. 사용된 자료, 변수 및 분석 모형
 4.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 실증분석
 5. 요약 및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보영 Im, Bo-Yeong.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박사과정
  • 마강래 Ma, Kang-Rae.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