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휴공간 유형별 특성 분석과 도시재생을 위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Vacant Land and the Mixed Land Use Techniques for Urban Regeneration

김상훈, 남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ixed land use techniques' for utilization of vacant land to urban regeneration. For proposing mixed land use techniques, the definition of vacant land and mixed land use, characteristics of vacant land are considered. Also, types of vacant land are divided and mixed land use techniques for each type are consider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creation of vacant land are new urban development and industrial and social change. Second, the types of vacant land utilization are divided into park, cultural/arts, business and commercial and welfare/public facilities. Also, most of vacant land are used to park or cultural and arts facilities. Third, the types of vacant land are divided into 'large vacant land in metro', 'large vacant land in local cities', and 'small vacant land in local cities'. Also, mixed land use techniques for each type of vacant land are considered. The result suggests that mixed land use techniqu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vacant land, and a various mixed land use techniques and supplementation of laws and institutions should be proposed for urban regener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도시내 유휴공간을 도시재생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유휴공간 유형별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휴공간 발생 및 활용 실태 등을 고찰하여, 국내 유휴공간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휴공간 유형별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유휴공간은 크게 신도시 개발로 인한 원도심의 이전적지와 공·폐가, 주거지역의 공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폐산업시설 및 그에 따른 주거지의 공가, 사업성 저조로 인한 주거지역의 주거환경 악화로 인한 공가가 주로 발생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국내 유휴공간 활용 유형은 공원, 문화예술시설, 업무·상업시설, 복지시설 및 주민 공동시설로 구분되고, 주로 문화예술시설이나 공원의 유형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유휴공간의 입지, 소유주체, 규모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휴공간의 유형을 ‘대도시 대규모 유휴공간’, ‘중소도시 공공소유 대규모 유휴공간’, ‘중소도시 소규모 유휴공간’ 의 3가지로 구분하였다. 넷째, 유휴공간 유형별로 도시재생을 위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유휴공간을 활용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들은 유휴공간의 다양한 특성과 입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도시재생에서 유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지역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 마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다양한 복합적 토지이용기법들이 실제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개발단위를 이전적지 부지에서 주변지역까지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부지확보시 기부채납을 토지 외에 건축물로 할 수 있는 등의 공공기여 방안의 수정 등 도시재생 관련 법·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2.1. 이론적 고찰
  2.2. 선행연구 검토
 3. 국내 도시의 유휴공간 발생 및 활용 실태
  3.1 유휴공간의 발생 요인 및 특징
  3.2. 유휴공간 활용 실태
 4. 유휴공간을 활용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
  4.1. 유휴공간의 유형 분류
  4.2. 유휴공간 유형별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상훈 Kim, Sang-Hun.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
  • 남진 Nam, Ji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