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경주 남산 불입상의 서상(瑞像)적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auspicious images in standing Buddhist statues at Namsan, Gyeongju

김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15 standing Buddhist images at Namsan Mountain in Gyeongju, and ten of them have one hand on the chest and the other dropped down, which is an unconventional mudra. These images are marked by the garment folds emphasizing the volume of the body, and the Buddha and halo being made out of a single stone. Lena Kim assessed that the mudra and garment folds on this type of Buddhist images as one of the types that was introduc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presumed that this type of Buddhist statues were regarded as special to the people of Silla − like the Sixteen-foot Buddha Statue at the Hwangryongsa Temple and auspicious images with the earth-touching mudra. In concurrence with Lena Kim’s view, this paper further develops her proposal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auspicious Buddhist images at Namsan Mountain. This paper first defines the concept of auspicious images, and it is thus preceded by proposing the scope and types of auspicious images. As for the scope of the auspicious images, all that have associated mysterious legends fell under this range and were further divided into “true visage” and “miraculous” types. The true visage type was divided again into auspicious images of Sakyamuni and Buddhist images that have tales regarding their discovery and construction. The miraculous type was also subdivided into the images with miraculous effects and images that grant the wishes of prayer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Ruixiang at Dunhuang with the standing Buddhist images at Namsan Mounta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wo were similar in their hand gestures, garments, and garment folds, and verified that the standing Buddhist images at Namsan Mountain exhibit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auspicious images. Furth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images at Dunhuang are of the miraculous type that granted worldly wishes, this paper examined the situations of the time during the Unified Silla when the Buddhist images at Namsan Mountain were made. It was revealed that Unified Silla was deprived at the time by wars causing severe famine and outbreaks of diseases, and the Namsan Buddhist images were made out of the wish to overcome the desperate situations of the time, thus corresponding to the miraculous type of auspicious image. Namsan Mountain in Gyeongju is the very first place where the miraculous type of auspicious images appear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also where the greatest numbers of them are found. Different types of Buddhist images were introduced into the Peninsula throughout the entire Unified Silla period, yet as this type of image was particularly prolific at the time, it is believed that there were some special religious connotations associated with Namsan Mountain. This study found the reason for this in the way the people of Silla perceived the mountain, and historical literature evidenced that the Silla people regarded the mountain as mystical. Further, one should also note that another type of auspicious image at Namsan Mountain is the seated Buddha with the earth-touching mudra, which comprises 17 out of 30 seated Buddhist images. If the seated Buddhist images with the earth-touching mudra of the true visage type and standing Buddhist images of the miraculous type were counted together, more than half of the Buddhist images at Namsan Mountain would be auspicious images. Namsan Mountain was a sanctuary filled with auspicious images and also served as a base of Silla Buddhism.

한국어

경주 남산의 15구의 불입상 중 10구에 해당하는 상은 한 손을 가슴에 올리고 다른 손은 아래로 내린 독특한 수인, 신체의 양감을 강조하는 옷주름, 불신과 광배가 한 돌로 조각된 형식 등의 공통점을 보여준다. 김리나는 이 형식의 불상에서 보이는 수인과 옷주름 등의 표현을 통일신라에 전해진 불상의 유형 중 하나로 판단하고, 그 성격에 대해서는 황룡사 장륙상이나 항마촉지인 서상과 같이 신라인에게 특별한 의미를 주었던 상으로 추정하였다. 본고는 이 유형의 상을 특별한 의미를 지닌 서상으로 판단한 그의 견해에 동의하고 이를 발전시켜 남산 불입상이서상으로서 가진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서상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먼저 서상의 범위와 유형을 제시하였다. 서상의 범위에 관해서는 상과 관련된 불가사의한 전설이 함께 전해오는 불상으로 한정하고, 그 유형으로 진용계서상과 영험계서상의 두 종류로 구분하였다. 진용계서상에는 석가모니 진용상과 발견이나 조성에 대한 연기가 전하는 상을, 영험계서상에는 신이를 보인 상과 기도에 답하여 소원을 이루어주는 현세 구복적인 성격의 상을 하위분류로 설정하여 그 내용을 세분화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상의 실제 사례인 돈황 <서상도>와 남산 불입상과의 비교를 통해, 두 지역의 불상이 수인, 착의법, 옷주름 등에서 유사점을 있음을 발견하고 도상적인 면에서 남산 불입상이 서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성격에 관해서는 돈황의 상이 현세 구복적 성격을 가진 영험계서상임에 착안하여, 문헌을 통해 남산에서 이 유형의 상이 조성된 시기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이 유형의 상은 극심한 전쟁과 기근, 질병에 시달리던 신라인들이 당시의 혼란을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조성한 현세 구복적 성격의 영험계서상임을확인하였다. 경주 남산은 이 유형의 서상이 통일신라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 장소이며 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적으로도 가장 많은 수가 발견된 곳이다. 통일신라 전 시기 동안 다양한 형식의 불상이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유형의 상이 특별히 많이 조성된 것에는 남산과 관련된 독특한 신앙적 배경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고는 그 이유를 신라인의 남산에 대한 인식에서 찾고 기록을 통해 이를 살펴본 결과 신라인들은 남산을 역사적·불교적 측면에서 신령스러운 장소로 이해하고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식과 더불어 주목되는 것은 남산에서 발견된 또 다른 종류의 서상인 항마촉지인 좌상으로, 30구의 좌상 중 17구에 이르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진용계서상인 촉지인좌상과 영험계서상인 불입상을 함께 고려하면, 남산 불상 가운데 절반 이상이 서상에 해당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남산은 서상으로가득 찬 성스러운 장소이자 신라 불교의 거점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주 남산 불입상의 현황 및 특징
 Ⅲ. 서상(瑞像)의 개념과 대표적인 사례
  1. 서상의 개념
  2. 서상의 사례 : 돈황 <서상도>
 Ⅳ. 경주 남산과 서상
  1. 경주 남산의 불입상과 돈황 <서상도>
  2. 경주 남산 불입상의 제작배경
  3. 서상 봉안 장소로서 경주 남산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시정 Kim Si-Jeong. 영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