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侍天主에 대한 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Si-Cheonju

시천주에 대한 한 고찰

이재봉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74집 2016.03 pp.183-20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onghak(東學) teaches people to worship Heaven. Cheonju(天主), Heaven or God, is the origin and the basic elements of life. We come from Heaven and live in Heaven, so we should maintain Heaven and realize Heaven. This is Si-Cheonju(侍天主). The word Si(侍) has wider meaning than worship(事). In Donghak, Si means worshiping and possessing. Si-Cheonju has two aspects. Donghak first teaches Si-Cheonju as fact, and then teaches Si-Cheonju as should-do. Worshiping Heaven in Donghak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thoughts. That is because they define Heaven newly. Worshiping Heaven in Donghak lastly results in Worshiping Man(Others). Because Heaven exists not only outside of Man but also inside of Man. And Worshiping Heaven and Man eventually results in worshiping oneself. The substantial nature of Heaven is characterized as Harmony and Clearness. And the key to those natures is Communication with all. Then Heaven grows in oneself. Thus Si-Cheonju as should-do is to preserve and realize Harmony and Clearness through Communication.

한국어

동학의 侍天主는 사실과 당위의 두 측면을 가진다. 사람들에게 먼저 사실로서의 侍天主를 가르치고, 그런 다음 당위로서의 侍天主를 가르치는 것이다. 존재에서 당위가 도출되는 것은 자연스런 결과이다. 당위로서의 侍天主, 곧 侍天은 事天을 내용으로 한다. 섬김[事]은 과거부터 이야기하던 것인데, 구태여 모심[侍]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그들의 가르침이 새로운 내용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 새로운 내용은 무엇인가? 여기서 동학의 존재 근거가 성립된다. 모심은 섬김의 의미 외에 하늘을 모시고 있음, 하늘을 모셔 들임의 의미를 가진다. 하늘에 대한 새로운 이해 때문에 동학의 事天은 기존의 事天과 같은 듯하지만 다르다. 上帝를 이야기하고 天地를 이야기하기 때문에 그들의 섬김은 처음에는 밖에 있는 하늘을 섬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나중에는 事人으로 넘어간다. 하늘은 사람의 밖에도 있고 동시에 사람의 안에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事天과 事人은 결국 나를 위한 것이 된다. 하늘을 섬김은 결국 나, 내 속의 하늘을 섬김이다. 그것이 곧 養天主이다. 동학이 이야기하는 것은 이 우주에는 생명의 근원과 기초가 있는데 그것을 하늘이라 하며, 우리는 그 하늘에서 오고 그 하늘 속에서 존재하므로 우리는 우리 안에서 하늘을 지키고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당위로서의 侍天主이다. 이미 모시고 있는 하늘과 모셔 들인 하늘을 따르고 지키는 것이 事天이다. 당위로서의 侍天主는 水雲에 의하여 守心正氣로 개괄된다. 心과 氣는 우리 생명의 내용이다. 당위로서의 侍天主는 心과 氣의 본래적, 정상적 상태를 회복하고 실현하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海月의 말들 가운데서 우리는 和, 淸明, 通이라는 세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당위로서의 侍天主, 곧 守心正氣가 지향하는 것은 생명의 본래 속성인 和, 淸明, 通을 실현하려는 것이다. 이 세 관념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이 관념들을 통하여 우리는 守心正氣의 구체적인 지향과 실천을 이해하는 데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侍와 事
 3. 和, 淸明, 通
  가. 和
  나. 淸明
  다. 通
 4. 맺음말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정보

  • 이재봉 YI Jae-bong.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