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solve daily inconveniences and propose a direction for healthy skin care after investigating eating habits, preferred food and shower frequency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living habits and perceived skin dryness among adult men in their 30-40s who are suffering from pruritus due to dry skin. Most respondents revealed a high level of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ves because of dry skin.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life habits and skin dryness, they had an effect on skin dryness in most categories of eating habits, preferred food and shower frequency. In particular, as the amount of smoking or preference for sweet food increased, skin dryness became more serious. Therefore, it appear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trol the intake of preferred food and have healthy eating habits in that eating habits and smoking are correlated with skin health, and skin health is an indicator of physical health.
한국어
본 연구는 평소 피부 건조함으로 인한 소양감을 가지고 있는 30~4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식습관, 기호품습관, 샤워습관 등을 조사하고, 이러한 생활습관과 지각하는 피부 건조함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일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건강한 피부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대부분 건성 피부로 인해 발생된 일상의 불편함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피부 가려움과 건조함 개선을 위해 병원 방문 경험을 묻는 문항에는 ‘아니오’를 응답한 자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규칙적인 식사 여부를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는 80.0%, ‘하루 식사 횟수를 보면 ‘2끼’가 42.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피부 건조함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식습관, 기호품습관, 샤워습관의 대부분 항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흡연량이나 단맛 선호수준이 높아지면 피부 건조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식습관 및 흡연은 피부 건강과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고, 피부 건강은 겉으로 드러나는 신체적 건강의 지표라는 점에서 기호 식품의 조절과 규칙적인 식습관을 평소에 갖는 것이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오래 유지 할뿐 아니라 피부 건조함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2.2 피부수분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도구 및 측정 방법
3.3 자료 처리 및 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지각하는 건조함 및 소양감
4.3 조사 대상자들의 생활습관 분석
4.4 생활습관과 지각하는 피부 건조함과의 상관관계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