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융복합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위한 비고츠키의 사회적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부모양육행동 요인 탐색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Based on Vygotsky’s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for Developing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차현주, 조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tarted from the basis of necessity on the researches which asserts that parental rearing behavior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change reflecting the social change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For this, parental rearing behavior of social constructivism and existing parental rearing behavior were contemplated while construct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was explored on the basis of main causes from Vygotsky's theory in order to prepare paradigm of new parental rearing behavior. As far as the method of study goes, various literature from relevant scholars were analyzed, centering various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pertaining to parental rearing behaviors as well as Vygotsky's theory. Also,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as confirmed through consult and revision from three experts. As the resul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irst, factor of cooperative interaction on social interaction. Secondly, emphasis on Internalization factor on social constructive behavior. Thirdly, potential development factor i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Fourthly, instructional conversation factor as semiotic medium. Lastly, assistance factor as scaffolding. As a result, new paradigm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was presented and opened a prospect in developing the touchston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pursuant to social constructivism.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부모양육행동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시도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부모양육행동과 비고츠키의 사회구성주의적 아동발달 관점에서의 양육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접발달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사회구성주의적 부모양육행동을 분석하여 양육행동의 핵심요인으로 비고츠키 이론의 핵심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고츠키 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요인을 추출한 후 비고츠키 이론에 관한 전문가 3명의 타당화 작업을 통하여 내용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요인 둘째, 사회적 구성행동에서의 내면화 강조 요인 셋째, 근접발달영역에서의 잠재성 계발 요인 넷째, 중재적 매개체로서의 교육적 대화 요인 다섯째, 스캐폴딩(scaffolding)으로서의 조력설정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양육행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사회구성주의적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는데 새로운 시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큰 의의를 갖는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3. 기존의 부모양육행동과 사회적구성주의에 따른 부모양육행동
 4. Vygotsky이론에 따른 부모양육행동 요인
  4.1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요인
  4.2 사회적 구성행동에서의 내면화 강조 요인
  4.3 근접발달영역에서의 잠재성 계발 요인
  4.4 중재적 매개체로서의 교육적 대화 요인
  4.5 스캐폴딩(scaffolding)으로서의 조력설정 요인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차현주 Hyeon-Ju Cha.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조희선 Hee-Sun Cho.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