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Coping Style and Resilience on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정윤화, 이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coping style and resilience on emotional response and practical stress. 261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Dec. 1 to Dec. 20, 2014. We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verbal abuse experience, emotional coping styl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problem coping style, emotional coping style and resilience;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coping style,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resilience and emotional response;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The highest impact factors affecting the emotional response was emotional coping style(β=.422). The highest impact factors affecting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was verbal abuse experience(β=.283). Future efforts should be focused to provide interpersonal relation trai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a safe environment of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61명이 참여하였고 2014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폭력경험은 정서중심대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문제중심대처는 정서중심대처,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중심대처는 정서반응,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은 정서반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서반응은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정서중심대처(β=.422)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폭력경험(β=.283)이였다. 간호대학생의 안전한 실습환경을 위해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과 효율적인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도구
  2.3 연구절차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폭력특징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 회복탄력성, 정서반응,임상실습스트레스 차이
  3.4 폭력 경험, 대처양식, 회복탄력성, 정서반응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3.5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4.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윤화 Yun-Hwa, Jeong. 경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이경희 Kyung-Hee Lee.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