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성 사회적 기업가의 창업 동기와 성과 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siness Start-Up Motivations and Performance Cognition of Women Social Entrepreneur

김학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ocial enterprise start-up motives differ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the study was in-depth interviews the five women social entrepreneurs. The analysis model was utilized an extension model between start-up motivation and business start-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cognize social problems and hope to be a better one had a greater impact on business start-up motivation. Howev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be the same as the entrepreneur. Second, it had an impact on previous experience and career to choose a business start-up industries. Thir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was an important tipping point for business start-up. Fourth, women social entrepreneurs recognize the social performance in relational and emotional aspec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gender characteristics affect the motivation of social enterprise start-up. second, the tipping point has on the business oper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창업동기가 젠더(여성, 남성)적 특성과는 다르고, 창업동기 차이로 인해 운영과 성과를 인식하는 것도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여성 사회적 기업가를 대상으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모델은 창업동기가 바로 창업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창업동기가 점화계기(제도적, 환경적 요인)를 통해 창업으로 연계되는 확장된 모델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창업동기는 영리기업이 주로 재정적 동기에 의해 창업을 하는 것에 비교할 때, 사회적 문제인식과 더 좋은 일을 하고자 하는 희구가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인적 특성(혁신성, 모험성, 위험감수성)은 영리기업가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여성 사회적 기업가들의 창업 업종은 이전 경험이나 직업(자활의 가사간병서비스, 돌봄)이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업종의 창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사회적 기업육성법」제정이라는 제도 도입으로 인한 지원정책이 창업의 중요한 점화계기가 되었다. 넷째,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관계적, 정서적 측면에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을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여성사회적기업가를 대상으로 창업동기와 성과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써 그동안 사회적 기업에서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으나, 여성 CEO의 창업에 관해서 수행한 연구는 없었다는 점과, 향후 여성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여성들의 어떤 특성이 창업으로 연계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논의
  2. 창업동기 연구
  3. 사회적 기업의 성과
 Ⅲ. 연구 설계
  1. 연구방법
  2.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3. 분석틀
 Ⅳ. 사례 분석
  1. 창업 동기
  2. 점화 계기(환경의 변화)
  3. 성과 인식
 Ⅴ. 연구 결과와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학실 Kim, Hak-sil.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