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상북도 도청이전에 따른 시군간 공간구조 변화 - 시군간 군집구조와 도청신도시 영향력의 경우 -

원문정보

A Study on Change of the Spacial Structure Between Cities and Counties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in Gyeongsangbuk-do : Case of the Cluster Structure between Cities and Counties and Influence of Provincial New City

안성조, 김주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spacial structure between cities and counties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in Gyeongsangbuk-do. So far,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have been located in Daegu megalopolis and thus the provincial capital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ere not in accord. Thus, Gyeongsangbuk-do arranged a related ordinance in 2007 and started the full scale transfer task in Feb. 2016 after going through the related preparation. At this point, thu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pacial structure between cities and counties for before and after the transf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and measure the influence of the provincial new city afterwards. Through thi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transfer policy. The main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coherence of the cities and counties in the southern Gyeongbuk area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has been weakened. The existing Southern Gyeongbuk cities and counties such as Gyeongsan city, Cheongdo county and Yeongcheon city etc were forming rage sphere centered on the provincial capital, Daegu megalopolis. However, cities and counties formed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were restructured as the same rage sphere as Pohang city and Gyeongju city. Second, the influence of the provincial new city was 37.6㎞ maximum at the 1st new city step arrangement, 49.3㎞ maximum at the 2nd step arrangement and 53.8㎞ maximum at the 3rd step arrange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도청이전에 따른 시군간 공간구조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경상북도 도청이전의 추진경과, 도청신도시 조성계획, 도청이전과 공간구조에 대해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도청이전에 따른 시군간 군집구조와 도청신도시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도청이전 전후의 시군간 군집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군집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였다. 둘째, 도청신도시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레일리의 상권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군간 거리를 point to distance too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도청신도시와 시군별 인구는 도청신도시 조성계획, 시도별 장래인구 추정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청이전에 따른 시군간 군집구조에서는 도청이전에 따라 도청이 소재하고 있던 대구광역시 인근 시군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경산시, 영천시, 청도군,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 김천시, 고령군 등이 구 도청을 중심으로 동일권역으로 묶여 있었으나 도청이전 후에는 구미·김천권과 포항·경주권으로 양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청신도시의 영향력은 최대 5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청신도시의 조성이 3단계까지 완료되어 인구 10만명의 자족도시를 갖추었을 경우의 추정치이다. 따라서 1단계 조성중인 도청신도시의 영향력은 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도청이전과 시군간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경상북도 도청이전의 추진현황
  2. 관련 선행연구 고찰
 Ⅲ. 경상북도 도청이전에 따른 시군간 공간구조 변화 분석
  1. 분석의 틀
  2. 도청이전 전후의 시군간 군집구조
  3. 도청신도시의 영향력 분석
 Ⅴ. 제언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성조 SungJo Ahn. 대구경북연구원
  • 김주석 Kim Ju Seok. 대구경북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