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碧松 智嚴의「碧松堂埜老頌」

원문정보

벽송 지엄의「벽송당야로송」

주호찬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4호 2006.08 pp.161-20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long as the Zen(禪) aims at spiritual awakening beyond consideration discernment(思量分別) and linguistic character(言語文字), Zen Buddhist poems(禪詩) based on Zen Buddhist thinking is to have abstrusity surely unable to understand with our usual cognition. [Such abstrusity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the subject Zen Buddhist poems intends to express is basically 소식 before linguistic character]. And for reason of the very point, that is, the one that we should represent something unable to express with linguistic character, the abstrusity of a meaning leads to that of an expression. Because we tried to represent 소식 before linguistic character, such expressions can not but be represented in a linguistic phrase beyond certain formality that must exist in our conscious structure. As you know, many records of Korean Zen Buddhist poems appeared in the end of Goryo Dynasty period together with sayings of Zen priests lots of Buddhist text in verse being composed,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ze of Buddhist texts in verse recorded in “Byeoksongdangyarosong(碧松堂埜老頌)” by Byeoksong Jieom [碧松 智嚴(1464~1534)] who succeeded to the lineage of Zen Buddhist during the period Taego(太古) ․ Naong(懶翁) in the end of Goryo Dynasty period to Hujeong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period and left a Byddhist hymn from the standpoint of Zen Buddhist poems in order to understand Zen Buddhist poems. In the Buddhist text in verse of Jieom, with the teacher who achieved spiritual awakening and the two students being trained as two axes by composition of its contents, two boundaries of Ieonjeolro(離言絶慮) and consideration discernment(思量分別) given and taken between them appeared, confronted with each other. Such a composition is expected to provide an important viewpoint in looking into the composition of the general features of Zen Buddhist poems distinguishable from lyric poetry based on two axes of Gyeong(景) and Jeong(情). with regard to a method of expressing the contents of Ieonjeolro(離言絶慮) like 소식, it was understood that it is not explained by linguistic character but by describing scenery in which a real image is contained. This could be a clue in understanding Gyeokoigu(格外句) which can not be omitted in understanding the general features of Zen Buddhist poems.

한국어

禪이 思量分別과 言語文字를 넘어서 있는 깨달음을 지향하는 한, 禪的인 사유를 바탕으로 하는 禪詩는 필연적으로 우리의 일상적인 인식으로는 파악되지 않는 난해함을 가지게 된다. 그 난해함이란 禪詩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 기본적으로 언어문자 이전의 소식이라는 데에 기인한다. 그리고 바로 그 점, 언어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무엇을 언어문자를 가지고서 표현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의미의 난해함은 표현의 난해함으로 이어진다. 언어문자 이전의 소식을 언어문자로 표현하려고 하다 보니, 그 표현들은 우리의 의식 구조 안에서 가져야 할 일정한 格式을 벗어나는 언구로 표현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의 선시는 그 기록이 고려 말에 선승들의 <語錄>과 함께 많은 게송이 지어지면서 집중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朝鮮朝에 이르러서는 억불책과 함께 선종도 교종도 그 명맥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따라서 어록의 발간은 급격히 줄어들었다가 西山 休靜(1520~1604)의 󰡔淸虛堂集󰡕에서야 비로소 체재를 갖춘 어록이 간행되었다. 본고는 여말의 太古․懶翁으로부터 조선 중기의 휴정에 이르는 사이에 선의 법맥을 잇고 있으며, 소략하나마 가송집을 남긴 碧松 智嚴(1464~1534)의 「碧松堂埜老頌」을 대상으로 그 속에 실린 게송들을 선시의 시각에서 분석함으로써 선시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智嚴의 禪詩 전체를 조망하기에 「碧松堂埜老頌」은 그 양에 있어서는 부족하다고 하겠지만, 禪旨를 담고 있는 내용이나 그것의 표현 방식에 있어서는 선시 일반의 논의로 확장할 수 있는 요소들을 갖추었다고 할만하다. 본고는 智嚴의 게송이 선지를 담은 法門으로서의 게송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게송에 담긴 禪旨가 어떤 시적 구도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와, 표현 방식에 있어 離言絶慮라는 禪의 기본입장을 지키면서 어떻게 문자화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고찰하였다. 지엄의 게송은 그 내용의 구성상 깨달음을 이룬 스승과 수행하는 제자를 두 축으로, 그들 사이에 주고받는 離言絶慮와 思量分別의 두 경계가 대립되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구도는 景과 情을 두 축으로 하는 서정시와 구별되는 禪詩 一般의 구성을 살피는 데 중요한 하나의 관점을 제공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깨달음의 소식과 같은 離言絶慮의 내용을 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에 대하여는 언어문자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하고자 하는 실상이 담긴 경물을 묘사하는 것으로 대신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이것은 ‘문자를 떠난 문자’로서 禪詩 일반을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格外句의 이해에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살핀 몇 편의 게송으로 본고에서 살핀 몇 편의 게송으로 선시일반의 구도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智嚴의 게송에 보이는 내용과 형식의 특징적 국면들에 관한 보다 확장된 연구는 선시일반을 이해하는 하나의 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碧松 智嚴과 그의 偈頌
  1. 碧松 智嚴
  2. 「碧松堂埜老頌」
 Ⅲ. 禪旨를 담은 法門으로서의 偈頌
  1. 깨달음의 本然消息
  2. 깨달음에의 促求
  3. 眞如大用의 現前 
 Ⅳ. ‘文字를 여읜 文字’의 形象化 - 離言絶慮의 格外句
 Ⅴ. 맺음말  
 국문요약문
 영문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주호찬 Joo, Ho-chan.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