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묵조선 수행의 실제

원문정보

The practice of Silent-Penetrative Seon

김호귀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4호 2006.08 pp.119-15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ilent-Penetration Seon(黙照禪) is BonjeungJagak(本證自覺), which means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Enlightenment of the Silent - Penetrative Seo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ve Seo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from-realization(本證)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s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非思量).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o we call it the Solely for Sitting-poster(只管打坐). That it to say, a supreme of sitting-meditation.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at outset.. The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the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the Un-Thought throughly. Thus the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非),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BulYumo(it means Non-Contamination 不染汚). That's exactly Thought of Silence - Penetration.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身心脫落) give a concrete form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 To put it another way,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 is embodiment of inward training our body and our mind in daily life, through the Sitting-Samadhi(坐禪三昧). Generally, because of Daily life is consider for training and act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the training system of Silent-Penetration Zen are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Un-Thought and the Solely for Sitting-poster(只管打坐).

한국어

묵조선은 곧 일체의 진리가 본래부터 어디에나 갖추어져 있다는 本證과 그것이 실제로 어디에나 언제나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는 現成公案의 입장이다. 때문에 본래 완성되어 있는 것을 어떻게 자각하느냐가 묵조선에서 수행의 문제로 부각된다. 그 본래성불을 드러내는 모습이 곧 只管打坐로서 가부좌이다. 이것은 깨침을 얻기 위한 준비나 수단이 아니라 그대로 깨침의 현성으로서의 본증이다. 그리고 그 본증을 마음속에서 체득하는 방식이 비사량으로서의 심리체험 곧 자각이다. 이처럼 터득된 비사량의 체험은 신심탈락으로 현성한다. 곧 몸과 마음 나아가서 감각과 언설의 초월상태이다. 공안의 현성이다. 달리 말하자면 현성된 공안이다. 一切衆生 悉有公案의 입장이다. 이러한 신심탈락의 체험은 행위 자체에마저 집착이 없는 제일심이 필요하다. 제일심은 본격적인 수행의 첫걸음으로서 가부좌의 좌선과 호흡을 수반한다. 여기에서 지속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도심을 내는 발심이 필요하다. 발심의 긍정이 곧 현성공안이다. 이처럼 공안의 현성은 필경에 몸과 마음과 감각의 초월을 지향하는데 이것이 곧 신심탈락이요 좌선탈락이다.

목차

1. 서언
 2. 묵조선의 본질
 3. 묵조선의 수행
  1) 本來成佛에 대한 깨침 - 本證自覺
  2) 無分別의 심리 - 非思量의 체험
  3) 좌선의 수행 - 只管打坐
  4) 公案의 현성 - 身心脫落
 4. 결어
 국문요약문
 영문요약문

저자정보

  • 김호귀 Kim, Ho-gui. 동국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