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금오선사의 선사상

원문정보

A Study on Seon Master Keum-Oh' Thoughts

최현각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4호 2006.08 pp.7-4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n Master Keum-Oh is one of the practitioners who had run a most intense life in modern Korean Buddhism. He had been a role model to everyon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eeping the original vow in taking the Buddhist ordination in Sangha. Furthermore, for lay people, he had taught how to actualize the ethical life in the most practical way. What he had suggested was a new ethical concept based on the society at that time. He expounded that in practicing meditation, 'What is this?' hwadu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and attaining enlightenment right at the moment is a means to save all sentient beings. Seon Master also had suggested the hwadu that deals with the actualization of social justice through the sense of the social reality, and dedicated himself to practicing it. That is, he wanted to uphold the spirit of the Sangha, continued its tradition, and purify and protect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He had firm insight and belief that every temple should be the place for practice, strongly wanting to renew the inside atmosphere of the Korean Buddhist Organization. This work is considered to be the very first purific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modern Korean Buddhism. Most of all, Seon Master taught that one should cultivate one's mind virtuously. Living a good life means thoroughly acknowledging one's true mind in a positive view. This is the life not only as a step toward an awakening based on the belief, a gate for progress, but also is the completion of achieving merit through good work, and another expression of the moral life. Therefore, he had put an emphasis that a virtuous way of life is what monks should proceed. In doing so, there are three methods: Those foundations are The Ordinary Mind, The True Mind, and The Original Mind. Seon Mast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itting meditation practice as a method of practicing operation of the fundamental mind. Through the sitting meditation, one can not only realize the truth but also complete the ethical obligation toward all sentient beings. In this method, the sitting meditation is a structured form of practice and the 'What is this' hwadu the content of hwadu practice. Seon Master deeply investigated the problem related to life and death through his practice than anyone else, and set his mind to this and dedicated himself to finding a solution; at any time his mind was occupied in acquiring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life and death.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attaining enlightenment, finding the master of one's mind and the actualization of the social justice.

한국어

금오선사는 근현대 한국불교사에서 가장 치열한 삶을 살아온 인물이다. 선사는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모범을 보여주면서 출가납자들에게는 출가수행자의 본분사를 잊지 말 것을 강조하고, 나아가서 재가신자들에게는 가장 현실성 있는 도덕적인 삶의 실천을 가르쳐 주었다. 선사가 제시한 것은 당시의 사회현실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도덕적인 개념의 주장이었다. 그리고 참선공부에서는 시삼마 화두가 가장 요긴함을 설하여 그 자리에서 확철대오하는 것이야말로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임을 말하였다. 또 선사는 현실에 대한 자각을 통하여 사회정의실현이라는 화두를 제시하고 그 속에 몸소 뛰어들었다. 곧 승단의 기풍을 바로 잡고 법통을 세워 삼보정재를 수호함과 아울러 모든 사찰을 수도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종단풍토의 정화에 대한 투철한 안목과 신념을 지녔다. 이것은 현대의 한국불교에 있어서 최초의 불사정화운동의 기치로 나타났다. 선사는 무엇보다도 마음을 착하게 운용할 것을 가르쳤다. 착하게 산다는 것은 철저하게 자신의 진심을 긍정하는 삶이다. 그것은 믿음을 바탕으로 삼는 깨침으로 향하는 향상문 이었고 또한 선근공덕의 실천이었으며 도덕적인 삶의 다른 표현이었다. 그래서 착하게 사는 것이 출가본분사의 길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로써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그 근본은 평상심이고 진심이며 본래심이었다. 선사는 본래마음의 작용을 실천하는 방편으로서 좌선을 강조하였다. 좌선은 진리의 각성과 중생에 대한 도덕의 실천이기도 하였다. 그 속에서 좌선이 수행의 형식이었다면 이 시삼마 화두는 수행의 내용이었다. 선사는 수행으로서 생과 사의 문제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심각하게 참구하고 이것의 해결을 위해서 발심하였듯이 언제 어떻게든 생사사대의 문제에 봉착해 있었다. 그것의 해결이 곧 깨침이고 마음의 주인공을 찾는 것이었으며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목차

1. 서언
 2. 금오선사와 한국불교의 자각
  1) 방편교화의 시설
  2) 사회정의의 실현
  3) 금오의 선사상
 3. 결어
 국문요약문
 영문요약문

저자정보

  • 최현각 Choi, Chang-sool(Hyun-gak). 본회회장, 동국대학교 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