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松桂懶湜의 문학 세계와 지역적 기반

원문정보

Songgye Na‐sik’s Literary World and it’s Local Base

송계나식의 문학 세계와 지역적 기반

김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Songgye Na‐sik’s(松桂懶湜, 1684~1765) literary world based on Priest Songgye’s Anthology(松桂大禪師文集). In consideration of the insufficiencies of the only previous study on Songgye’s literature, this study was focused on his ideological character and its historicity, the trend of literary exchange in the Buddhist circle, and the literary geographical aspect of his literature. Priest Songgye was the head of the Bonghwa‐sa Temple in Andong during the years under the rule of Kings Sukjong and Yeongjo, and learned from Hwanseong Ji‐ahn(喚醒志安, 1664~1729) and Nakam Eui‐nul(落巖義訥, 1666~1737). The priest did not have many students under him nor leave numerous writing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doctrin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he completed the scripture learning courses faithfully and laid the ground of his philosophy. In addition, the afterword of Hwaeomgyeongchilcheogupumhoipummok (華嚴經七處九會品目跋) shows that he compiled the book under his teacher’s instruction. What is more, he is known to have devoted himself to belief in the Pure Land in his late years. Given these backgrounds, the priest’s life, writings, and ideological tendencies pursued all of Zen, Hwaeom, and the Pure Land together, and at the same tim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the 18th century. The priest steadily cultivated himself in poetry and established his own literary world, and all the outcomes were fully reflected in his anthology. Priest Songgye walked the road of a learner throughout his lifetime but,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d his identity as a literary man 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of Andong, Yeongn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어

이 논문은 松桂懶湜(1684~1765)의 󰡔松桂大禪師文集󰡕에 나타난 문학 세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 논문에서 미진하게 다루어진 사상적 면모와 그 시대성, 불가 내의 문학 교유 양상 및 문학지리학적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송계대사는 숙종~영조 연간에 안동 봉화사에 주석했던 인물로서 喚醒志安(1664~1729)과 落巖義訥(1666~1737)에게 참학하였다. 대사의 휘하에 많은 제자들이 있거나 저술을 남긴 것은 아니나, 조선후기 교학의 수준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강원의 이력과정을 충실히 이수함으로써 자신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고, 화엄학을 연찬하여 「華嚴經七處九會品目」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만년에는 정토신앙에 귀의한 것도 확인된다. 이를 통해 대사의 삶과 저술, 사상적 경향이 선․화엄․정토의 三門兼修라는 18세기 한국 불교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사는 시문을 꾸준히 연마하여 자신의 문학 세계를 구축해 나갔고 그 결과가 문집에 반영되어 있다. 송계대사는 평생 수행자의 길을 걸어가면서도 한편으로는 조선후기 영남의 안동이라는 특정한 시공간에서 문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현해 나간 인물로 그려볼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생애와 법맥
 Ⅲ. 佛家내의 교유와 詩文의 양상
 Ⅳ. 지역적 기반과 詩文의 양상
 Ⅴ. 송계 문학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진 Kim Jongji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