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연구

원문정보

Fostering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among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Students

이윤정, Salusso, Carol J., Lee, Jaeil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erformance outcomes, oral persuasion, vicarious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feedback on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In order to foster both creativity and ethics among apparel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sufficiently high self-efficacy to make sound ethical decisions while actively pursuing their creative processes.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from ten different universities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bsite. A total of 1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epwis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n the first stage,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was regressed on performance outcomes, oral persuasion, vicarious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feedback. On the second st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regres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gender, residenc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in addition to the four precedent variables entered on the first stage.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outcomes and vicarious experience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physiological feedback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even when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for.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added on the second stage, only gender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Specifically, men showed higher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than wome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educators at a higher education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 즉,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윤리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창의적 과정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면서 동시에 윤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의류학 관련 학과에서 패션디자인 과제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74부를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구통계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추가 투입하였다. 그 결과 첫 단계에서는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생리적 피드백이 유의한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에 창의적·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수행한 경험이 있거나, 다른 사람이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을 지켜본 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이러한 작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경우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두 번째 단계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변화가 없었다. 단계 2에서 추가 투입된 인구통계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만이 유의한 효과를 가졌는데, 여성보다 남성이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의 교육자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디자인 창의성의 정의와 촉진요인
  2. 윤리적 패션디자인과 독창성
  3.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선행요인
 Ⅲ. 연구 방법
  1. 연구문제
  2. 설문조사
 Ⅳ. 연구결과
  1. 변수의 신뢰도 및 기술통계분석 결과
  2.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요인들의 영향분석
  3.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선행요인들과 개인적 특성의 관계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윤정 Lee, Yoon-Jung.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교수
  • Salusso, Carol J. 워싱턴주립대학교 의류학과 부교수
  • Lee, Jaeil 시애틀퍼시픽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