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학겸수에 입각한 윤월하 수행 정신 - 행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Yun Wolha’s spirituality based on the combined three trainings - Focused on his hagiography -

김수아(소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spirituality and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 developed by Yun Wolha, a purified mon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had developed the practice combined three trainings in morality, meditation, and wisdom, which were based on the study of Chan, doctrine, and Vinaya.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his activities of Jogye Order and Tongdosa after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n 1955, they have not outlined his inner spiritual practice as he sought to be reborn a sincere practitioner, with a complete overhaul of both body and mind through practicing the combined three trainings.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the combined three trainings in morality, meditation, and wisdom during his stays at Yujeomsa, Odaesan Sangwonsa, Hwasankyongweon of Simwonsa, and various Chan Temples between 1933 and 1954, when he was between 19 and 44 years old. This investigation offers several new revelations. First, Yun Wolha made his vow to be a purified Chan monk during his time as a novice at Yujeomsa in Mt. Kumgang. Second, for 20 years, he was received strong influences from Bang Hanam’s spirituality through the unification of Chan and Doctrine Sect Buddhism based 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adhi and Prajna at Sangwonsa in Mt. Odae. Third, although he was an outsider, Yun Wolha became the transmission disciple of Kim Guha, a highly powerful monk at Tongdosa, because Kim Guha thought that Yun Wolha was the only monk eligible to lead Tongdosa in becoming the holy place for combined three trainings in morality, meditation, and wisdom in the 1940s.

한국어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불교 교단이 혼돈을 겪었을 시기에 청정비구로 수행한 윤월하(尹月下, 1915∼2003)가 선교율(禪敎律)을 바탕으로 계정혜(戒定慧) 삼학겸수(三學兼修)를 갖추어 가는 수행 과정과 수행 정신의 배경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불교정화운동 이후 윤월하의 행장을 비교적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윤월하가 일평생 청정비구로 선교율을 바탕으로 계정혜 삼학겸수라는 정진을 통해 수행자로 환골탈태해 나아가는 내적 수행 과정과, 그러한 수행 정신을 갖추게 된 배경에 관해서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윤월하가 세납 19세인 1933년부터 법랍 20년에 해당하는 1954년까지 유점사, 오대산 상원사, 심원사의 화산경원과 제방선원에서의 수행을 통해 선교율과 삼학겸수의 수행 정신이 확립되는 과정과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행장에서 드러내지 못한 몇 가지 점을 밝혔다. 첫째는 윤월하가 유점사의 사미승 시절부터 청정비구로 선승의 길을 걷고자 원력을 세웠다는 점이고, 둘째는 윤월하가 20대에 오대산 상원사에서 방한암의 계율과 선교융합의 정혜쌍수 정신을 계승하여 삼학겸수의 수행자로 발돋움했다는 점이며, 셋째는 윤월하가 1940년대 수행 정신이 사라져 가던 통도사를 삼학겸수의 수행도량으로 이끌어 갈 인재였기 때문에 통도사 김구하의 전법제자가 되었다는 점이다.

목차

한글요약
 I. 서론
 Ⅱ. 본론
  1. 금강산 유점사 시절
  2. 오대산 상원사 시절
  3. 심원사 화산경원 시절
  4. 영축산 통도사 시절과 스승 김구하와의 인연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아(소운) Kim Su-ah(So-un). 동명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