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정화지수를 활용한 해양오염퇴적물 수거범위 산정이 준설의 적정성에 미치는 영향 - 진해항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Effect of Determination of Marine Contaminated Sediment Pickup Scope by Cleanup Index on Relevance Adequacy of Dredging - Case of Jinhae-port -

최진환, 김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inhae-port is located in semi-closed sea areas which shows red tide, unpleasant odor and hypoxic symptoms. The need of dredging contaminated sediment has been issu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status of target area heavy metals and organic cantaminants include TBTs, PAHs, PCBs, DDTs were analyzed Cd, Cr and Pb exceeded the criteria for managing sediment and categovized as “very bad” and “ba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dredging area using the hazardous chemical cleanup index (CIHC) and eutrophication cleanup index (CIET). And result of predict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arine environment by dredging of contaminated waters with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model showed that COD is improved by 22 to 25% after dredging. Therefor, dredging for a decision on adequate assessed that the use of CIHC and CIET

한국어

진해항은 반폐쇄성 해역으로 적조와 악취발생, 저산소 현상 등이 발생하고 있어 해양오염퇴적물 준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오염해역 대상지에 대한 해양오염퇴적물 오염도 분석, 해양수질 분석, 해양생태계 조사 등을 실시한 결과 TBTs, PAHs, PCBs, DDTs가 검출되었으며 Cd, Cr, Pb 등의 중금속 항목이 주의기준을 초과하고 해양수질은 아주나쁨과 나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HC)와 부영양화 정화지수(CIET)를 산정하여 수거범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수질모델를 활용하여 오염해역 준설로 인한 해양환경 개선효과를 예측한 결과 COD가 22~2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화지수를 활용한 오염해역 준설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선정
  2. 정화지수 산정
  3. 해양오염퇴적물 수거범위 산정
 III. 연구결과 및 고찰
  1. 준설전 오염해역 현황조사
  2. 정화지수와 해양오염퇴적물 수거범위 산정결과
  3. 준설후 오염해역 준설의 적정성 평가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진환 Jin-Hwan Choi.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 김영희 Younghee Kim.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