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표면개질 활성탄을 이용한 인 흡착반응의 특성 평가

원문정보

Evaluation of Phosphorus Adsorption Characteristic with Surface Modified Activated Carbon

이상민, 김초원, 백도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nd evaluate an adsorbent which is surface modified activated carbon (SMAC) to adsorb an ionic material like a phosphate ion. For this purpose, FeCl3, Fe(NO3)3, and FeSO4 were used modifying agents for 0.025~0.2 M range of the agents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phosphate adsorption tests, the pohsphate removal of the tested three agents were 71.9%, 47.1%, and 76.5% respectively. The isotherm adsorption test showed that the specific amount of phosphate by FeCl3 was 5.7 mg P/g SMAC and 5.3 mg P/g SMAC by FeSO4. For the low phosphate concentration, The FeSO4 modifed SMAC showed more stable than the FeCl3 one in the removal rate. According to FESEM and EDS analysis, the heterogeneous inorganic film is formed on the SMAC and the inorganic film was confirmed to have ferric and ferrous ion phosphoru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활성탄을 개질하여 이온성 물질인 인산이온을 흡착제거할 수 있는 인 흡착제를 제조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FeCl3, Fe(NO3)3, 그리고 FeSO4 개질약품을 0.025~0.1 M 농도에 대해서 활성탄을 개질하여 인 흡착 특성을 조사한 결과 FeCl3의 경우 71.9%, Fe(NO3)3 의 경우 47.1%, FeSO4의 경우 76.5%의 인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등온흡착실험 결과 인의 비흡착량은 FeCl3로 개질한 경우 5.7 mg P/g SMAC FeSO4로 개질한 경우 5.3 mg P/g SMAC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농도 인 농도(2 mg PO4-P/L)에서는 FeSO4가 FeCl3보다 안정된 인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FE-SEM과 EDS 분석에 의하면 인 흡착 후 흡착제의 표면에는 흡착 전 보다 많은 불균질한 피막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면 해당 피막에는 다량의 철과 인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인 흡착제 제조
  2. 표면개질 약품농도와 종류의 영향
  3. 등온흡착 실험
  4. 반복 인 흡착실험에 따른 인 흡착제의 파과특성
  5. SEM과 EDS를 이용한 인 흡착제의 표면분석
 III. 결과 및 고찰
  1. 개질약품 종류에 따른 SMAC의 인 흡착특성
  2. 표면개질 인 흡착제의 등온흡착능 비교
  3. 연속 인흡착 반응 시 인 제거 효율비교
  4. SEM & EDS 분석 결과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상민 Sangmin Lee. 국립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초원 Cho-Won Kim. 국립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백도현 Do-Hyeon Paik. 국립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