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원문정보

The Recognition Study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장석경, 최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method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urvey and analysis recognition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f 383 preservice teacher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 survey tool was used after modifying the tool that UNESCO (2004), Chaeui (2014) develope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gnized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ut showed a markedly lower level about recognition of cont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SD education in the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ey were aware of the need of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this study, the growing awarenes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ctiva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적용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해봄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가 함양해야 할 과제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83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내용이 사용되었다. 검사 도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국제이행계획 초안(UNESCO, 2004), 이선경 외(2006), 채희종(2014)이 사용한 도구를 참고하여 설문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가치는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대학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교육과정에 포함될 때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절차
 Ⅲ. 연구결과
  1.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2.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적용 현황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석경 Suk-kyung Jang. 경복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의전담 조교수
  • 최현정 Hyun-jung Choi. 경복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의전담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