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ㆍ초등 연계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배정에 관한 실태 및 학교장의 인식

원문정보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Principals and the Realities of a First Grade Teacher Assignment : Using Perspective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김창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first grade teacher assignments an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incipals who are the final decision makers and to try to find a solution. It included a survey of 40 elementary principal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realities of teacher assignmen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s have adopted the circulation way for teacher assignments and they have announced the result of teacher assignment in February, before starting a new semester. However, when first grade teachers were deployed, few schools considered if the teachers have had teaching experiences of lower grad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Next, in relation to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bout main teacher assignments, the principals positively responded about reappointment of the first grade teachers and early assignment of main teachers. Also, they responded that first grad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how to interact with young children and abilitie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experiences before the young children enter school. Therefore, when schools assign first grade teachers, they need to announce it earlier, so that the teachers have enough time to prepare for their new class and to practic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lso,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provide a curriculum that promotes abilities to teach lower grade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교사가 유․초등 연계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관점에서 담임교사 배정의 실태와 학교장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40개교 교장을 대상으로 각 학교의 학년 담임 배정 원칙과 배정 시기, 1학년 담임 중임제 및 조기 배정의 효과, 1학년 담임교사의 준비 사항 등에 관하여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순환식 담임제 방식을 적용하고 새 학기가 시작되기 직전인 2월 중에 담임배정을 발표하고 있으며, 1학년 담임을 배정할 때 저학년 담임경력이나 유․초등 연계교육 및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연수 경력을 고려하는 학교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장들은 대체로 1학년 담임중임제와 담임 조기 배정에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고, 1학년 담임교사는 1학년 아동발달특성에 따른 상호작용 방법과 유아교육 방법 및 입학 전 유아의 경험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구된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적으로 1학년 담임교사의 배정은 1학년 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이어야 하겠고, 담임 배정 시기를 앞당겨 1학년 담임교사로서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을 늘려주는 것이 필요하며, 현직 학교에서 유․초등 연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교원 양성대학에서 저학년 담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마련 등이 요구됨을 주요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및 연구절차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배정의 실태
  2.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배정에 관한 학교장의 인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창복 Chang-Bok Kim. 서울교육대학교 유아ㆍ특수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